그림검사의 종류(2)-이야기구성 검사
<이야기 구성 검사>
특정한 장면을 그리고 그에 대한 이야기를 요구함으로써
현재 피검자가 겪고 있는 갈등, 실제적 경험, 어려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장면그림과 대상 또는 상황에 대한 단편적인 설명을 요구할 때보다 이야기를 요구할때 더 풍부하고도 직접적인 정보를 얻을 가능성이 크다.
하나의 장면으로 이야기를 만들 것을 요구할 수도 있고
두 개 이상의 그림을 피검자 마음대로 연결하면서 사건들이 연속된 이야기를 만들도록 요구할 수 있다.
이야기 구성 사례
약물남용가족의 아동
<12세 제이콥>

Afrer Jacob (aged 12) drew his life under the shadow of his addicted father(see Figure 1), he said
12세 제이콥 남아가 그린 “어둠속의 중독된 아버지”
The way I see it, one cannot stop using drugs. It’s the most dangerous thing, you can die of it. You end up in prison or it’s the end of your life.
On one hand the one who is on the right is the person who manager to get out of the drugs and goer to the other direction [pause], looks at them from the side. I chose red because I like this color, it gives me strength.
나는 알고 있지만, 약물을 복용하는 걸 멈출수 없다.
그것은(약물) 매우 위험하다.
인생을 한방으로 보낼 수 있고, 널 죽일수도 있다.
약을 끊고 그렇게 하는게 옳은 일 이란걸 알고 있다.
힘을 길러서 아빠가 약을 끊고 다른 삶을 살도로 도와주고 싶다.
나는 좋아하는 색으론 빨강을 골랐다.
나를 강하게 보여주기 때문이다.
<12세 예나>

Following a drawing (see Figure 2) of her life under the shadow of her father’s addiction, Janna eged 12, said.
어둠속에 사는 아빠와 나
I drew my father very skinny. That’s how he looks when he uses drugs. I drew his eyes closed, his narrow nose and sad mouth. I have no explanation for the colors
I used, the narrow nose should be colored in red because when he sniffs, his nose becomes like that [pause]. A person who uses drugs is empty, had nothing in his heart, nothing in his head, he cannot really be a father [pause]. He is a father but not according to his behavior. His eyes are always closed and tired. I am always frightened when he looks at me even if he smiles at me [pause]. I wish he could be more close to me, more of a father.
나를 아빠를 마르게 그렸다.
약에 취하면 그렇게 보이기 때문이다.
나는 그의 눈을 감고, 그의 좁은 코와 슬픈 입을 끌어 당겼다.
좁은 코는 빨간색으로 물들어야 해. 왜냐하면 그가 코를 킁킁거릴 때, 그의 코는 그렇게 되기 때문이야.
마약을 하는 사람은 공허하고, 마음도 없고, 머리도 없는 사람, 정말 아버지가 될 수 없다.
그는 아버지지만 그의 행동에 따르지 않는다.
그림 속의 남자는 눈을 감고 입이 슬픈표정을 하고 있다.
그가 나를 보고 웃어도 나는 항상 두렵다.
그가 나와 더 가까워졌으면 좋겠어
더 많은 아버지(?)
정확한 번역은 실패했지만,
요약을 하자면 이 아이는
약물의 세계에 빠진아빠를 그린 것이고
이 세계의 아빠와의 관계을 보여주며
아빠역활을 해주는 아빠를 원하고 있는 사례이다.
<이야기 구성검사의 해석>
현실과 이야기 상징성 구분
피검자가 만들어 낸 이야기와 그림의 장면들이 전적으로 그들의 현실생활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이야기의 내용과 장면의 해석 보다 심층적인 의미가 부여된 것인지 실제를 참고할 수 있는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피검자와의 담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검사자의 작위적 해석의 가능성 고려
피검자의 이야기가 은유적 또는 상징적인 특성이 큰 경우 검사자의 해석에 검사자의 주관적인 의미부여의 가능성 또한 커진다.
따라서 이야기에 대한 검사자의 해석 또한 항상 다른 대안에 열려있는 가설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