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치료학

미술표현의 특성(1)

마쏨 2020. 6. 23. 22:49
반응형

미술 표현의 특성과 작품에 대한 이해는 미술치료 기법의 결정에서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미술표현엔 크게 두가지가 있는데
평면적인 그림
입체적인 조각 형태가 있다

먼저
평면적인 그림의 특성에 대해 말하자면

<재료>
기본적으로 연필, 붓, 마커 등이 평면적 작업의 구성이며, 어떤 재료를 선택하냐에 따라 미술표현의 기본적인 측면을 결정 짓는다
미술치료에서의 각각 매체의 특성에 대해 실제적인 작업, 강의 등을 통해 깊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 연필-딱딱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선 굵기의 조절이 가능하며 필압을 표현 할수 있다.

<통제 여부>
어떤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하냐에 따라
어느 정도의 통제를 가지는지 알수 있다

연필 등과 같은 딱딱한 재료로는 강한 통제와 신중한 계획성을 표현 할 수가 있고,
수성물감을 사용함으로써 물감이 흐르도록 하여 자연발생적인 표현을 할 수 있다.

<색의 선명도>
색의 선명도 또 한 사용되는 재료에 영향을 받게되는데
더욱 선명한 표현을 원할 때 부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매체, 덧칠 가능 여부에 대해 미술치료사가 이해하고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예) 마커-덧칠 불가능
물감- 덧칠 가능

<그리기 또는 채색하기>
선 구성에 적합한 매체(연필, 마커, 펜 등) vs
넓은 면을 채울 때 사용하는 매체(수성물감, 큰 파스텔 등),
번지게 하거나 그라데이션이 가능한 매체 vs
그렇지 않은 매체

치료사의 민감성으로 재료 제공이 필요하다.

<구도>
그림의 구도는 통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림을 종이의 어떤 위치에 그렸냐에 따라 두려움이나 어떠한 방어기제를 가졌는지 알 수 있다.

<공간활용과 균형>
구도가 대칭적으로 배열 되었다면 안정감이다, 균형감이 있다고 해석 할 수 있다.

공간에서 꽉 찬 부분, 비어있는 부분, 표면이 얼마나 칠해져 있는지, 균형감을 유지하고 있는지, 화면에서 한 쪽에 밀집되어 있지 않은지
이러한 배열이 어떤 목적을 두고 그린 것인지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형태의 유무>
내담자가 자신의 작품에 표현하고자 하는 것에 대해 명확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고,
그것을 수행할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무엇인가를 표현하려는 시도를 보이기는 했으나,
그것을 수행할 능력이나 동기가 부족하지 않은지 알아볼 수 있다.

<색>
색상의 다양성, 사용한 양, 강도, 조화등을 고려한다.

<선>
가장 주목하게 되는 부분이며, 선의 강도가 주저함이 있는지의 여부를 볼 수 있다.
선의 굵기, 정확성, 방향성, 사용한 양 등으로 알아볼 수 있고
선이 즉흥적으로 그려져 있는지, 계획적이며, 잘 통제되어 있으며 정교함이 나타났는지 등 고려해볼 수 있다.

<초점이나 방향성>
그림의 구도가 어떤 특정한 부분에서 보는 사람의 관심을 끌어내고 있는지,
아니면
작품 전면에 패턴화 되어 있는지 등을 고려한다.

<움직임>
작품의 느낌이 정적인가, 움직임이 느껴지는가

예를 들어 두명이 나무를 그렸다고 치자
한명은 나무에 적은 수의 나뭇잎에 매달려 있고, 최소한의 선만을 활용하여 정적인 나무를 표현한 반면
다른 한쪽은 나무의 잎들이 여기저기 휘날리고 떨어지며 나뭇잎으로 동적인 느낌을 표현하는 경우이다.

그림이 정적이냐 동적이냐에 따라 내담자의 내면의 상태를 추측해 볼 수 있다

<세부 묘사>
구도와 노력의 투자 정도와 연관된다.
강박적인 수준의 세부 묘사인지, 정신적 에너지와 동기가 결여된 상태의 세부묘사의 생략과 정교함이 나타나지 않는 것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림에 대한 내용설명>
그린 사람이 설명을 하지 않으면 알 수 없는 그림과 그림에 그려진 것만 보고도 내용이 강력한 인상을 남기는 경우가 있다.

<감정 표현>
인물의 표정, 분위기, 추상화에서도 그린 사람의 감정과 느낌을 느낄 수 있는 그림과
그림에 방어가 잘되어 있는 그림의 경우가 있다.

<노력의 투자 정도>
그린 사람이 작품에 얼마만큼 노력과 공을 들였는지나,
신체적인 상태나 고통때문인지,
비자발적으로 치료적으로 왔거나,
치료과정과 참여를 거부하는 사람,
일시적으로 치료 과정에서 환기되는 고통 때문에 일시적으로 저항을 하는 경우인지 잘 찾아봐야한다.



이어서 계속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