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치료학

미술치료 과정과 기법: 초기

마쏨 2020. 7. 4. 18:47
반응형

초시의 미술치료 기법은
정신분석학에 역사적인 뿌리를 두고 있었으므로 자유로운 연상과 같이 틀이 없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식이었다.
시대가 지났음에도 여전히 자유로운 그림은 중요한 기법중 하나이지만
특정 작업들, 특히 시간이 제한된 치료나 특정 그룹들과의 작업과 같은 상황에서는 신중히 고려해야 할 사항과 선택들이 많다.

함스(Ernst Harms)
“특정한 정신병리를 다루기 위해 특정한 미술적 개입을 고안하라(1973)”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 미술치료(Psychocybemetic Model of Art Therapy: PMAT)
PMAT가 다른 미술치료 접근 방식과 구별되는 점은 미술치료의 단계, 기법, 각 대상에 따른 접근 방식이 체계적으로 구조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구조화된 미술치료는 내담자에게 안전한 치료 환경을 제공한다.
Nucho는 사이버네틱스의 정의에서 목표지향성을 언급하는데
목표 지향적 행동을 위해 자신의 이미지를 수정하며, 자신과 소통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사이코사이버네틱스가 그것을 성공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사이코사이버네틱스 미술치료 모델이 추구하는 바는 이미지를 표현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고 양성함으로 내면의 목표 지향적 행동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시각적 표현 목지않게 언어적 표현의 중요함을 강조하며 이때 뇌의 우반구와 좌반구를 모두 활용하게 되며 이러한 점을 다른 집단 미술치료와는 구별성을 가지고 있다.

PMAT는 4 phase로 한 회시는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 긴장완화 단계(Unfreezingphase), 미술작업 단계(Doingphase), 이미지와의 대화 단계(Dialoguing phase), 마무리 및 통합단계(Ending phase & Integratingphase)

1단계 긴장완화 단계(Unfreezing phase)
미술매체를 탐색하거나 지난 시간에 나눈 작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주제에 집중할 수 있는 단게
미술재료의 사용법을 설명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도우며 미술표현에 대한 두려움을 다루어 주어 프로그램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단계 미술작업 단계(Doing phase)
미술작업에 집중하는 단계이자, 내담자의 기능 수준과 회기 목표, 치료 단계를 고려하여 구조화 여부를 결정 짖는 단계이다.

3단계 이미지와의 대화 단계(Dialoguing phase)
시각적 이미지를 언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
시각적 언어가 일상적 언어로 바뀌면서 시스템 내의 정보가 더욱 명확해지는 단계
작품에 대해 언어로 설명하는 동안 새로운 정보와 이전 정보의 통합이 이루어진다.
치료사는 작품의 제목을 정할 것을 권유하는데 제목을 정하는 것을 작품 안에 의미를 알아내는데 도움을 준다.
내담자를 미술작품과 작품의 의미와 연결 시키며 치료사와 집단원들 그리고 미술 작품 사이에서 경험하는 모든 것을 반영하도록 한다.

4단계 마무리 및 통합단계(Ending phase & Integrating phase)
종결을 준비하며 통합하는 단계로 치료적 관계와 세션 종결을 준비하는 마지막 단계이다.
치료사는 치료 기간이 얼마나 남았는지 내담자와 함께 확인해 볼수 있는 시간이며
치료기간에 일어난 변화에 대해 함께 살펴보고 종결 이후 삶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기도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