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치료학

미술치료의 명칭과 정신장애의 종류

마쏨 2020. 6. 15. 00:53
반응형

미술치료의 명칭들은 대상, 증상, 환경 등에 따라 분류가 된다.

내담자 대상에 따라,
아동 미술치료, 아동 및 청소년 미술치료,성인 미술치료, 가족 미술치료, 노인 미술치료,
이렇게 대상자가 누구냐에 따라 명칭과 미술치료 방법이 바뀌기도 하고,

내담자가 겪고 있는 증상, 혹은 환경에 따라
임상미술치료, 기관중심미술치료, 의료미술치료, 정상인을 위한 미술치료 등 으로 명칭이 분류되기도 한다


정신장애의 종류

현재 연구와 임상장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정신장애 분류체계인
“DSM-5”는 미국정신의학회에서 발간한
‘정신장애의 장애 및 통계 메뉴얼(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이다
DSM-5에는 정신장애를 20개의 주요한 범주로 나누고, 그 하위범주로 300여 개 이상의 장애를 포함하고 있다

신경발달장애(Neurodevelopmental Disorders) 종류
중추신경계, 즉 뇌의 발달 지연 또는 뇌 손상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정신장애를 포함하며 심리사회적 문제보다는 뇌의 발달장애로 인해 흔히 생의 초기부터 나타나는 아동기 및 청소년기의 정신 장애를 포함한다

- 지적 장애: 지능이 비정상적으로 낮아서 학습 및 사회적 적응에 어려움을 나타내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청소년기 아이가, 지능은 5살에도 못 믿치는 경우

- 의사소통 장애: 의사소통에 필요한 말이나 언어의 사용에 결함이 있는 경우.
지능수준을 정상적이지만 언어사용에 문제. 하위장애로는 언어장애, 발음장애, 아동기-발생 유창성 장애(말더듬), 사회적 소통장애 등이 있다
어릴때는 말을 더듬는 문제 때문에 많이 애를 먹은 기억이 있는데. 오랜 시간과 노력을 통해 성인이 된 지금은 고쳐졌으나 가끔 감정이 격해지면 말이 꼬이는 실수를 하기도 한다..이또한 정신장애에 속해 전문 명칭까지 있다니..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서 장애를 나타내며, 제한된 관심과 흥미를 지니며 상동적인 행동을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장애이다.

-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ADHD): 주의집중의 어려움이 있고 매우 산만하며 부주의한 행동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자신의 생동을 적절히 통제하지 못하고,
충동적인 과잉행동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주의력 결핍형, 과잉행동형, 두 가지 혼합형의 세 하위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보통 주의가 산만하고 과격한 행동을 하는 아이들은 관심을 끌기 위한 행동으로 알고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과잉행동 장애는 또 다른 이유가 있을지 또 어떤 이유가 있을지 궁금해진다

- 특정 학습장애: 정상적인 지능을 갖추고 있고 정서적인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지능 수준에 비하여 현저한 학습부진을 보이는 경우다.
음...?

- 운동 장애: 나이나 지능수준에 비해서 움직임 및 운동능력이 현저하게 미숙 하거나 부적응적인 움직임을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경우이다.
운동장애에는
발달성 운동조정장애(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정형적 동작장애(stereotypic movement disorder),
틱 장애(tic diorder),
뚜렛장애(Tourette’s disorder),
만성 운동 또는 음성 틱 장애(chronic motor or vocal tic disorder),
일시적 틱 장애(provisional tic disorder) 등이 있다.




다음 편에 정신장애의 종류..이어서 계속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