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미술치료에서의 자기인식
- 피아제의 인식론
- 미술치료 초기기법
- 인물화검사의 해석
- 그림구조분석
- 그림심리진단
- 그림검사의 종류
- 미술작업 후 대화하기
- dsm-5
- 미술치료
- 인물화검사 신체특징에 따른 해석
- 그림심리검사
- HTP검사의 채점
- 미술치료기법
- HTP검사
- 인물화검사의 채점 및 해석
- 미술작업의 개입
- 미술치료의 준비
- 정신장애의 종류
- 그림의 구조분석
- HTP검사의 해석
- 예술상담
- 미술치료 연결하기
- HTP검사 실시방법
- 정신장애
- 미술치료의 자기인식
- 미술치료의 개입
- 인물화검사
- 그림검사 신체특징 해석
- 자기인식 기법
- Today
- Total
나무그늘
인물화검사 배경 및 실시 방법 본문
<인물화 검사의 배경>
인물화가 표현하는 것에 대한 이해
그림의 중복결정성
- 그림은 그림을 그린 사람의 생간, 감정, 욕구, 태도 등을 타인에게 전달하는 수단이 되며
의사전달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언어를 사용한 의사소통과 달리 그림은 특정한 문법과 그에 따른 의미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림은 다양한 의미를 동시에 전달하고 있다.
그림은 언어로 명확히 나타낼 수 없는 의미를 표현하며, 그린 사람의 의식적, 무의식적 측면을 동시에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피검자가 표명하는 의식적 의미 이외에도 우의식적 의미가 있으며, 그림을 그린 당시와 달른 시점에서 보면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자기상과 타인상
- 인물화 검사에 의해 그려진 인물은 그린이자신을 표현한다고 가정할 수 있지만, 또한 피검자가 자신 이외의 누군가에게 관심을 갖고, 그 사람을 인식하는 방법을 나타내면서
그 사람과의 관계에서 자기상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인물그림이 피검자가 생각하는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가를 알기 위해서는 피검자가 그린 그림에 대해 그린 후의 질문이나 설명, 다른 자료와의 관계를 검토해야 한다.
<인물화 검사의 실시 방법>
준비도구와 실시 장소
도구
: A4 또는 A5 용지 한 장, HB연필 2-3자루, 지우개,
자 또는 다른 도구는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장소
: 조용하고, 밝고, 통풍이 잘되는 곳으로 물리적,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장소.
책상과 의자가 있는 곳이 좋다.
지시
<지시문>
: 종이는 세로 방향으로 해서 제시하며. 연필과 지우개를 함께 준다.
“지금부터 그림을 그리겠습니다. 그림을 잘 그리거나 못 그리는 것을 조사하는 것이 아니니까 편안한 기분으로 그려주세요. 그러나 적당히 그리지 말고 가능한 정성껏 그려주세요. 있는 그대로를 그리는 것이 아니라 자시이 생각한 것을 그리는 것입니다.”
<부가지시>
: “연필로 그리고, 지우개를 사용해도 좋습니다.”
“사람을 한 사람 그리되, 얼굴뿐 아니라 몸 전체를 그려주세요”
“만화나 막대기 모양이 아닌 구체적인 사람을 그려주세요”
그 밖의 사항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당신이 원하는 데로 그리면 됩니다.”
<한 장의 그림을 다 그린 후의 지시>
: “이 사람은 남자입니까? 여자입니까?”
남자 또는 여자를 종이 뒷면에 기입하고
“그럼 이번에는 처음에 그린 사람과 반대되는 성의 사람을 한사람 그려주세요”
반대 성의 사람그림을 완성하면 이번에도 뒷면에 남자 또는 여자를 기입한다.
수행시간
대개 인물 한 사람을 그리는데 10-15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너무 짧은 시간이나 너무 오랜 시간도 피검자의 성격적 특성을 알려주는 지표가 된다.
행동관찰
- 피검자와 검사자간 기본적인 라포형성이 잘 되어 있는가?(라포란, 피검자와 검사간의관계에서 형성되는 친밀감 또는 신뢰관계를 의미한다.)
- 검사의 지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따르고 있는가?
- 그림 그리는 것을 거부하는가? 마지못해 억지로 그리고 있는가? 관심을 갖고 열심히 그리고 있는가?
- 그림을 그리는 도중 질문이나 이야기가 많은가?
-긴장하여 그리는가? 편안하게 그리는가? 검사자나 주위에 신경을 쓰며 그리는가?
- 자신이 그린 그림에 대해 확인을 구하는가? 검사자의 마음에 들게 하려 하는가?
- 그림을 그리는 동안 자주 지우개를 사용하여 수정하는가? 지우개를 사용하지 않고 수정하는가?
-그림을 그리는 순서는 어떠한가? 얼굴부터 그리는가? 발부터 그리는가?
- 그림을 그리면서 특별한 언급을 하거나 혼잣말을 한 것이 있는가? 있다면 어떠한 내용의 말인가?
<사후질문>
그림을 그린 후 여러 가지 질문을 하여 그림에 나타난 의미를 해석하기 위한 자료를 얻고자 질문을 한다.
질문의 내용은 검사해석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을 자유롭게 선정하면 되나, 피검자에게 전반적인 감상을 말하게 한 후,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할 수 있다.
1. 이 사람은 몇 살쯤 되었습니까?
2. 이 사람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3. 이 사람이 지금 무엇을 생각하거나 느끼고 있다고 생각합니까?
4. 이 사람은 어떤 성격을 가진 사람이라고 생각합니까?
5. 당신은 누군가를 상상하고 이 사람을 그린 것입니까? 만일 그렇다면 누구입니까?
6. 당신이 그리려고 한 것을 생각대로 그렸습니까? 그리기 어려웠던 부분은 없었습니까?
7. (특수한 주제를 가진 인물인 경우) 당신은 이 사람을 그린 이유가 있습니까?
8.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관련해서) 이것은 무엇입니까? 그린 이유를 설명해주세요.
9. 이 그리메 부족한 부분이 있습니까?
10. 당신은 이 사람을 좋아합니까? 친구가 되거나 함께 생활하고 싶다고 생각합니까?
11. 이 사람은 결혼하였습니까? 가족은 몇 명 정도하고 생각합니까?
12. 이 사람은 친구가 많다고 생각합니까?
13. 이 사람은 어떤 일을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까?
14. 이 사람은 행복합니까? 아니며 불행하다고 생각합니까?
15. 이 사람의 신체는 건강합니까? 아니면 불행하다고 생각합니까?
16. 이 사람이 필요로 하는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17. 당신은 이러한 사람이 되고 싶습니까?
18. 이 사람은 당신을 닮았습니까?
앞서 기술한 모든 질문을 하기에 시간이 부족하다면 적어도 전반부 8개 항목에 대한 질문은 하도록 한다.
<단체로 인물화검사를 실시하는 경우>
임상적 용도를 위해서는 개인적으로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사람이 함께 검사를 받아야할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서로 논의하지 못할 정도의 거리를 두고 앉아 각자가 종이, 연필, 지우개를 받아 그림을 그리게 한다.
<지시>
: 그림을 그리라는 지시는 개인검사 떄와 동일하게 하나 다음과 같은 사항을 부가한다.
“서로 그림을 보거나 이야기하지 않도록 하고, 자신이 생각한 것을 그려주세요.”
“그림은 약 15분 안에 완성해야하니, 시간을 염두에 두세요.”라고 말한 후 시간 경과에 대한 정보를 준다.
피검자에게 자신이 그린 그림이 남자인지 또는 여자인지를 직접 종이 뒷면에 기입하게 하고 다른 종이에 반대 성의 사람을 그리도록 한다.
<사후질문>
: “용지 뒷면에 1부터 6까지 번호를 적어주세요. 그리고 각각의 번호에 대해 질문을 할테니, 자신이 그린 그림을 보며 질문에 대한 답을 써주세요”
1. 이 사람은 몇 살쯤 되었습니까?
2. 이 사람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3. 이 사람이 지금 무엇을 생각하거나 느끼고 있다고 생각합니까?
4. 이 사람은 어떤 성격을 가진 사람이라고 생각합니까?
5. 당신은 누군가를 상상하고 이 사람을 그린 것입니까? 만일 그렇다면 누구입니까?
6. 당신이 그리려고 한 것을 생각대로 그렸습니까? 그리기 어려웠던 부분은 없었습니까?
단체 실시할 때 질문의 내용을 종이에 적어두는 것은 수행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삼가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