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미술치료기법
- 정신장애의 종류
- 미술작업 후 대화하기
- 그림검사의 종류
- 예술상담
- 자기인식 기법
- 그림심리검사
- 인물화검사의 해석
- 미술치료의 자기인식
- HTP검사 실시방법
- 미술치료에서의 자기인식
- 정신장애
- 그림심리진단
- 미술치료
- 그림검사 신체특징 해석
- HTP검사의 해석
- 그림구조분석
- dsm-5
- HTP검사
- 미술치료 연결하기
- HTP검사의 채점
- 미술작업의 개입
- 인물화검사 신체특징에 따른 해석
- 인물화검사의 채점 및 해석
- 그림의 구조분석
- 미술치료의 준비
- 미술치료의 개입
- 피아제의 인식론
- 미술치료 초기기법
- 인물화검사
- Today
- Total
목록미술치료기법 (4)
나무그늘

내가 좋아하는 내 모습과 싫어하는 내 모습 방법: 큰 종이의 화면을 나누어서 (대게 반을 접어서 나눈다) 나뉜 면 각각에 구체적으로든 추상적으로든 주어진 주제를 표현한다. 그리기가 어렵다면 글씨로 써도 되고 콜라주를 해도 된다. 변형1: 이 주제는 여러 가지로 변형이 가능하다. 주제 그리기가 끝나면, 가위로 두 부분을 잘라서 나눈다. 그리고 둘 중 한 쪽을 오려서 남은 한쪽에 창조적으로 덧붙인다. 이때의 핵심은 내가 좋아하는 모습도 싫어하는 모습도 모두 나의 모습이라는 것을 볼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변형2: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내담자라면, 그 사람에 대해 어떤 점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표현하거나 정리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변형3: 양 쪽에 내가 보는 나의 모습과 남이 보는 나의 모습을..

종이반죽 가면 준비물: 풍선, 신문지, 물감, 양모, 깃털, 콜라주 등 종이반죽: 밀가루3컵(반죽시 너무 끈적이면 조금 더 추가), 소금1/3컵, 식물성 기름 2큰술, 물 1컵, 식용색소 약간(원할 경우) 과정: 종이반죽 준비물을 잘 섞어 준다. 내담자에게 풍선을 불게 한 후 신문지를 자르거나 찢어서 종이반죽에 적시도록 한다. 매장 등에서 구매한 반죽을 사용해도 좋으며 설명 부분에 나와 있는 만드는 법을 사용해도 좋다. 내담자에게 신문지 조각들을 풍선에 풍선둘레의 3/4정도 만큼 붙이도록 지시한다. 풍선이 24시간~48시간 동안 건조되도록 둔다. 풍선이 다 마르면 핀으로 풍선을 터트리고, 굳은 종이 반죽을 가면처럼 보이고 얼굴을 덮을 수 있도록 자른다. 내담자는 물간, 비즈, 양모 등으로 가면을 장식해도..

사실적인 자화상 파스텔, 물감 또는 점토로 자신의 사실적인 자화상을 표현한다. 세부적인 것을 표현해 낼 수 있는 재료들이 적당하다. 변형 작업들 1. 기억하며 그린 자화상: 얼굴 또는 누드 2. 사실적인 자화상을 2분 또는 제한 시간 안에 신속하게 그린다 3. 눈을 감고 점토로 자화상을 만든다. 한 손으로 얼굴을 만지고 다른 손으로는 형상을 만든다. 4. “자기 자신을 어떻게 보는가? 또는 내면에서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를 주제로 자화상 이미지 작업을 해 본다 5. “다른 사람들은 당신을 어떻게 보는가? 또는 당신은 현재의 자신을 어떻게 보는가?”와 같은 주제를 사실적으로 혹은 추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자, 가방 등을 이용한 자화상(self box) 콜라주 이미지와 상자, 가방 또는 다른 용기의 ..

의식하기 운동 준비물: 도화지, 파스텔, 크레용, 마커 등 과정: 내담자에게 눈을 감고 긴자을 푼 다음 자기 주위에서 나는 소리들, 새들의 지저귐 난방기기나 에어컨 돌아가는 소리 바람 소리 등을 귀에 기울이도록 한다. 소리들에 귀기울이는 것에만 집중하고 다른 잡념은 떨쳐내라고 한다. 몇 분 후에 색깔, 모양, 형상, 그리고 물체들을 이용해 자신이 체험한 생각과 느낌을 그려 달라고 한다. 토론 및 목표: 토론의 초점은 의식하며 살아가는 것의 중요성에 맞춰진다. 모든 것을 정지시키고, 장미의 향을 느낄 수 있는 여유와, 과거에 연연하지 않고 미래에 대해 걱정하지 않는 자세에 대해 알아본다. 목표는 스트레스 해소 및 기분 전환 등이다. 해소 준비물: 명상음악, 도화지, 파스텔, 크레용, 마커 등 과정: 진정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