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인물화검사의 채점 및 해석
- 미술치료 연결하기
- 그림검사의 종류
- 미술치료기법
- 그림검사 신체특징 해석
- 미술치료
- 예술상담
- 인물화검사의 해석
- 미술치료 초기기법
- 미술작업 후 대화하기
- dsm-5
- 미술치료의 준비
- 미술치료의 자기인식
- 정신장애의 종류
- 미술치료의 개입
- 자기인식 기법
- 정신장애
- 그림심리검사
- HTP검사 실시방법
- 그림구조분석
- HTP검사
- HTP검사의 채점
- 그림심리진단
- 인물화검사 신체특징에 따른 해석
- 미술치료에서의 자기인식
- 인물화검사
- HTP검사의 해석
- 그림의 구조분석
- 미술작업의 개입
- 피아제의 인식론
- Today
- Total
목록예술상담 (2)
나무그늘

투사적 그림검사의 해석에 정신분석학적 관점이 많은 영향을 미쳤지만, 그림이 가지는 다면적인 특성상 다양한 다른 접근법들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는 정신분석학적 관점을 비롯하여 다양한 심리적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는 접근법들을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정신분석학적 관점 그림은 그린이 내면의 핵심적인 정신역동적 요인에 의해서 결정된다. 마코버(Machover) 사람그림은 자신을 어떻게 지각하는 가에 대한 표상이며 종이는 환경에 해당되고 사람은 그린이 자신에 해당된다. 개인은 성장과정에서 신체부위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감각이나 지각, 감정을 경험하고, 그 결과로 신체상이 발달하며, 그림에는 이러한 신체상이 투사됨으로써 그린이의 충동, 불안, 갈등, 보상적 욕구가 표현되다. 레비(Lery) 그림은 역동..

“지능 및 성격 평가도구로서 그림검사 출현하다.” 정신장애 환자들에 대한 관심 - 19세기 말 유럽에서 정신장애 환자들의 그림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면서, 그림이 정신 병리의 진단에 도움을 주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고 인식되기 시작했다. - 20세기 초에는 그림이 정신분열증과 같은 진단을 확증해 줄 만큼 타당성이 있다는 견해가 확대되었다 - 프로이드(Freud)는 그림이 억압된 개인의기억을 표상하는 이미지로서의 상징이 꿈이나 예술적 표현을 통해 표출되고 따라서 그림을 통한 예술적 표현이 인간내면을 이해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고 믿었다. - 융(Jung)은 환자들의 꿈을 그림으로 표현해 보도록 하면서 이미지와 마음 사이에 중요한 연결점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 이미지에 담겨있는 상직적인 의미들을 이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