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미술치료
- 그림심리검사
- 미술치료의 자기인식
- 그림심리진단
- 미술치료 연결하기
- 인물화검사의 해석
- 미술작업의 개입
- 그림의 구조분석
- 미술치료의 준비
- 미술치료에서의 자기인식
- 피아제의 인식론
- 그림구조분석
- 인물화검사 신체특징에 따른 해석
- HTP검사
- 인물화검사의 채점 및 해석
- 정신장애
- 미술치료기법
- 미술치료의 개입
- 그림검사 신체특징 해석
- HTP검사의 해석
- 미술작업 후 대화하기
- 정신장애의 종류
- 미술치료 초기기법
- 그림검사의 종류
- HTP검사 실시방법
- 인물화검사
- 자기인식 기법
- HTP검사의 채점
- dsm-5
- 예술상담
- Today
- Total
목록그림검사의 종류 (2)
나무그늘

특정한 장면을 그리고 그에 대한 이야기를 요구함으로써 현재 피검자가 겪고 있는 갈등, 실제적 경험, 어려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장면그림과 대상 또는 상황에 대한 단편적인 설명을 요구할 때보다 이야기를 요구할때 더 풍부하고도 직접적인 정보를 얻을 가능성이 크다. 하나의 장면으로 이야기를 만들 것을 요구할 수도 있고 두 개 이상의 그림을 피검자 마음대로 연결하면서 사건들이 연속된 이야기를 만들도록 요구할 수 있다. 이야기 구성 사례 약물남용가족의 아동 Afrer Jacob (aged 12) drew his life under the shadow of his addicted father(see Figure 1), he said 12세 제이콥 남아가 그린 “어둠속의 중독된 아버지” The way I ..

그림검사에서 무엇을 그리도록 하는가에 따라 피검자의 심리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접근해 들어갈 수 있는 다양한 길이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통로를 통해 우리는 피검자의 심리상태에 대해 더욱 유연하고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검사의 도구로서만이 아니라 치료적 대화나 자기표현의 기회를 가지도록 다양한 대상과 상황 그림을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자화상 검사 자화상을 그려보도록 하는 검사로서, 자기개념과 신체상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검사이다. 자화상을 그려보도록 한뒤 부가적인 인물(Additional Person)검사를 함께 할 수 있다. 이는 자신의 자화상에 다른 사람을 부가적으로 그려보라는 검사로, 주로 인물의 크기를 통해 중요한 타인의 존재, 자존감, 특정인물에 대한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