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인물화검사
- 피아제의 인식론
- HTP검사의 채점
- 그림검사의 종류
- 자기인식 기법
- dsm-5
- 인물화검사 신체특징에 따른 해석
- 미술작업 후 대화하기
- 미술치료기법
- 그림의 구조분석
- 그림심리검사
- HTP검사 실시방법
- 미술치료
- 미술치료의 자기인식
- 인물화검사의 채점 및 해석
- 미술치료 연결하기
- HTP검사
- 미술치료에서의 자기인식
- 정신장애
- 인물화검사의 해석
- 그림심리진단
- 그림구조분석
- 정신장애의 종류
- 그림검사 신체특징 해석
- 미술치료의 준비
- 미술치료의 개입
- 미술치료 초기기법
- 예술상담
- 미술작업의 개입
- HTP검사의 해석
- Today
- Total
목록HTP검사의 채점 (3)
나무그늘

McLachlan의 뇌손상지표 5개 항목을 3점 척도로 채점. 내용이 충족되지 않으면 0점,하나의 그림에다도 해당되면 1점, 여자그림, 남자그림 모두에 해당되면 2점으로 채점. 전체점수는 0-10점 범위 7점 이상이면 뇌손상 진당에 해당된다. 1. 인물상의 불균형(대칭) 2. 주요 세부묘사의 생략 : 머리-눈, 코,입, 귀 혹은 머리카락, 신체-팔, 다리 혹은 상체, 사지-발, 손, 손가락(만일 손이 등 뒤로 그려졌다면 채점하지 않음) 3. 전체적인 신체 왜곡 : 사각형 혹은 배 모양의 신체, 대칭성의 결핍, 팔보다 짧은 다리, 팔과 다리 크기의 불일치, 불록한 배 등 4. 빈약한 통합 : 상체와 팔, 다리, 목, 머리의 전체적인 통합이 빈약, 잘목된 위치에 한 줄로 붙은 팔, 신체 부분들 위치가 부적절..

심리학자들은 임상가의 해석에 객관적인 참조 기준을 마련하고자 여러 가지 투사적 그림 검사에 대한 채점 및 해석지표들을 발전시켜왔다. 적응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을 구분하기 위한 척도 생략 : 그림에서 의미 있는 세부묘사가 생략된 경우(눈, 입, 팔, 다리, 발 등) 투명성 : 신체 부분들이 팔, 다리, 옷 들을 통과하여 보이거나 심장, 위 같은 장기들이 표현된 경우 왜곡 : 신체 부분들이 매우 부적절한 비율로 그려지거나(지나치게 크고 긴팔, 지나치게 작은 머리 등), 신체 부분들이 적절히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잘못된 영역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팔이 몸통 중간에 연결됨) 수직적 불균형 : 인물이 45도 이상 기울어진 형태로 그려진 경우 머리의 단순화 : 머리가 과도하게 단순한 형태로 그려진 경우 신..
잘 그렸는지 못 그렸는지, 세세한 묘사의 정확성에 집착하지 않고 전체적이고 직관적인 인상에 의한 접근. “이 그림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 그림을 그린 피검자는 무엇을 느끼고,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말하려고 하였을까?” “피검자는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고, 주위 환경에 있는 사람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이해하도록 노력한다. 전체적 인상을 평가하기 위한 단서 1. 가소성, 탄력성, 자유, 변화, 발전딱딱함, 경직성, 단조, 고집, 정체 2. 활동성, 적극성, 확장성, 정력적, 건설적, 호기심, 결의, 노력무기려, 소극적, 수축적, 피로, 파괴력, 무관심, 결단력 없음, 나태 3. 균형, 안정, 안심, 평정, 이완, 통제적왜곡, 불안정, 불안, 동요, 긴장, 충동적 4. 행복, 명항,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