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그림심리검사
- HTP검사의 채점
- 인물화검사
- 그림구조분석
- HTP검사의 해석
- 미술치료 연결하기
- 미술치료에서의 자기인식
- 그림검사의 종류
- 인물화검사의 채점 및 해석
- 정신장애
- 미술치료기법
- 미술작업 후 대화하기
- 인물화검사 신체특징에 따른 해석
- HTP검사
- 그림심리진단
- 미술치료의 개입
- 정신장애의 종류
- 미술치료 초기기법
- 자기인식 기법
- 예술상담
- 그림검사 신체특징 해석
- 인물화검사의 해석
- 피아제의 인식론
- 그림의 구조분석
- HTP검사 실시방법
- 미술작업의 개입
- 미술치료의 준비
- dsm-5
- 미술치료
- 미술치료의 자기인식
- Today
- Total
목록인물화검사 신체특징에 따른 해석 (3)
나무그늘

팔 팔은 수행의 직접적수단이므로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가 현실 속에서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를 볼 수 있는 지표이다. 팔의 생략 : 한쪽 팔을 그리지 않았다면 세상과의 관계에서 양가감정을 가지고 있거나 부분적인 억압의 가능성. 양팔 모두 생략- 정신증적으로 퇴행되어 있거나 과도한 무력감과 부적절감 우울 등으로 현실에서 위축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팔을 등 뒤로 숨기고 있는 경우 :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억제하고 현실대처능력의 부족과 무력감을 시사한다. 팔의 크기 : 긴 팔- 세상과의 상호작용에서의 무력감을 과잉보상하려는 시도 굵은 팔- 타인을 지나치게 통제하거나 지배적 행동을 보일 가능성 약한 팔- 대처능력의 저하, 수동성, 선 하나로 팔을 표현했다며 부적절감과 수동성이 매우 큰 경우일 수 있다. 두 ..

목 목은 인지적 활동, 즉 사고, 공상, 감정과 몸에서 일어나는 신체적 반응을 연결하는 통로. 적절한 통합은 정신과 신체의 경험에 대해 스스로 통제감을 느끼고 편안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목의 생략 : 정신과 신체경험의 통합 또는 조절에 무능함. 뇌기능장애, 해리장애, 사고장애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목의 크기 : 긴 목은 생각과 행동 간의 거리를 두고자 함. 자신의 공상활동에 몰두할 가능성이 크다. 가늘고 긴 목- 통제력을 상실한 상태에서 위축되고 억제되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굵은 목- 생각을 통제하는 것에 지나친 집착을 보일 수 있으며, 경직되고 완도한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작고 짧은 목-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고자 하는 의지에 압도되어, 스스로의 행동통제에 대하여 무력가, 자괴감, 부적절감을..

머리 인지적 능력과 공상 활동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머리의 생략 : 사고장애와 신경학적 장애 가능성이 있다. 지적능력에 대한 자신감 결여 머리의 크기와 형태 : 과도하게 큰 머리는 지적능력에 대한 불안을 보상하려는 시도 그러나 피검자의 연령특성을 충분히 고려해야한다. 작은 머리는 지적능력과 공상세계에 관련된 부적절감의 표현. 세모나 네모 모양으로 머리모양을 왜곡한 경우도 지적능력의 장애와 왜곡가능성을 의심할 수 있다. 머리카락 : 외모와 타인에게 보이는 자신의 인상에 대한 관심과 관련. 머리카락의 생략은 어린유아에게서는 흔하나 높은 연령에서 나타난다면 외모에 대한 자신감결여 및 위축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머리숱이 지나치게 많고 강조된 그림은 자기주장이 강하며 공격적인 태도의 가능성이 있으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