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미술작업 후 대화하기
- 그림검사 신체특징 해석
- 미술치료의 자기인식
- 피아제의 인식론
- 그림심리검사
- 예술상담
- 미술치료 연결하기
- HTP검사 실시방법
- 정신장애의 종류
- 미술치료 초기기법
- 미술치료의 준비
- 미술작업의 개입
- 인물화검사의 해석
- 인물화검사 신체특징에 따른 해석
- 정신장애
- 인물화검사의 채점 및 해석
- HTP검사의 채점
- HTP검사의 해석
- 미술치료기법
- 자기인식 기법
- 그림구조분석
- dsm-5
- 그림심리진단
- HTP검사
- 미술치료
- 그림의 구조분석
- 그림검사의 종류
- 미술치료의 개입
- 미술치료에서의 자기인식
- 인물화검사
- Today
- Total
목록미술치료 연결하기 (2)
나무그늘

미술작업후 대화하기 연결하기 연결하기(linking)는 미술작업을 통해 나타난 것이 어떤 의미인지 깨달음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작품 요소들 간에 연결하기 이번회기와 지난 회기들 간에 연결하기 그림과 실제 생활을 연결하기 그림에서 반복되어 나오는 요소들의 의미를 중심으로 엮는 것이다. 그린 사람이 의도했든 아니든 선택한 재료의 특성과 소재, 주제 등이 비슷한 느낌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지난번 그림과 마찬가지로 파스텔을 선택해서 그리셨네요” “파스텔을 사용하면서 문지르는 표현을 많이 하셨어요” “연두섹은 어떤 느낌이 드나요?” “말씀하셨던 파스텔 느낌과도 비슷한 것 같네요. 이러한 느낌이 지금 자신에게 중요한것 같습니다. 어떤가요?” 내담자의 작품이 중요한 주제에서 반복되거나 서로 대조되는 면을 비교해 보..

미술작업이 끝났다면 작품을 두고 대화를 한다. 미술작업 자체로 충분한 면도 있지만, 작업 후의 대화는 통찰지향적 미술치료의 정수라고 할 수 있다. 미술작업이 혼자만의 내면으로 깊이 들어가는 것이라면, 작업 후의 대화는 상호관계 안에서 깊이 들어가는 것이다. 미술작업이 감성과 감정, 감각을 풍부하게 한다면 작업 후의 대화는 그런한 내용들에 이해를 더하면서 골조를 부여해서 그것이 흩어져 날아가지 않도록 무게를 잡아 주는 것이다. 작업 후에 대화에 특별한 틀이 있지는 않지만, 대체로 공통되는 요소들을 묶는다면 관찰하기, 발견하기, 연결하기의 세가지로 간추릴 수 있다. 미술작업을 마치고 처음 이야기를 나눌 때에는 대개 개방형 질문을 던지는데 질무은 꼭 의문문일 필요는 없다. 예) “자, 이제 다 하셨군여”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