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미술치료 연결하기
- HTP검사
- HTP검사 실시방법
- 그림심리진단
- 미술작업의 개입
- 미술치료기법
- 인물화검사
- 정신장애의 종류
- 미술치료 초기기법
- 미술치료의 준비
- 미술치료에서의 자기인식
- 미술치료의 개입
- 인물화검사의 채점 및 해석
- 미술치료의 자기인식
- HTP검사의 채점
- 미술치료
- 그림구조분석
- 인물화검사의 해석
- 자기인식 기법
- 그림의 구조분석
- 예술상담
- 그림심리검사
- 피아제의 인식론
- 정신장애
- 그림검사 신체특징 해석
- 미술작업 후 대화하기
- 그림검사의 종류
- 인물화검사 신체특징에 따른 해석
- HTP검사의 해석
- dsm-5
- Today
- Total
목록그림구조분석 (2)
나무그늘

구조분석에 관한 미헬(Michel)과 그륀발트(Grunwald)의 공간 분석 융학파인 미헬과 그륀발트는 무의식과 과거,미래의 분류도식을 사용하여 공간의 상징성을 제안하였다. 중앙 : 가장 안정되고 중요한 부분으로 그림을 그린사람의 정신 상태는 안정으로, 통합된다. 수평방향에서 오른쪽 : 능동적인 정신에너지 방향을 나타내며, 현재에서 미래로 향한 힘이 내재하고 권위와 적극성을 포함한 아버지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수직방향에서 위 방향 : 하늘을 향하는 방향이며 현실에서 초월한 방향으로 향하며 정신성을 나타내고 미분화된 상태를 뜻한다. 아래 방향 : 땅 밑을 향하는 방향으로 사물의 근원과 무의식을 나타낸다. 또한 인간의 육체를 나타내며 미분화된 상태를 뜻한다. 오른쪽 위 방향 : 정신을 향한 이상적인 방향으로..

구조적 분석은 그림에 나타난 심리적 특징을 그림의 구성요소들에 따라 탐색하고 분석하는 방법이다 그림의 요소들은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 그림을 그려나간 순서와 변화는 피검자의 내적 갈등과 그에 대한 방어의 양상을 알아볼 수 있다. 그림과 그림의 순서 - 한 대상 안에서의 순서 - : 하나의 대상을 그릴 때 정해진 순서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그림을 그려나가는 순서를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순서가 지나치게 무시되거나 왜곡된 경우 이것을 심리적 문제를 시사하는 유의미한 사인으로 볼 수 있다. 예) 인물화에서 일반적인 순서: 머리->발/ 이상순서: 발->머리 - 대상과 대상사이의 순서 - : 하나의 과제에서 여러 대상을 그리는 경우, 먼저 그린 대상과 다음으로 그린 대상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