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정신장애의 종류
- 인물화검사의 해석
- 미술치료의 준비
- 미술치료 초기기법
- dsm-5
- HTP검사
- HTP검사의 해석
- 인물화검사 신체특징에 따른 해석
- 인물화검사
- HTP검사의 채점
- 미술치료
- 그림구조분석
- 미술치료의 자기인식
- HTP검사 실시방법
- 인물화검사의 채점 및 해석
- 그림심리진단
- 그림심리검사
- 미술치료의 개입
- 그림검사의 종류
- 그림의 구조분석
- 예술상담
- 그림검사 신체특징 해석
- 정신장애
- 미술치료에서의 자기인식
- 미술치료 연결하기
- 미술치료기법
- 자기인식 기법
- 미술작업의 개입
- 피아제의 인식론
- 미술작업 후 대화하기
- Today
- Total
목록미술치료의 준비 (3)
나무그늘

미술치료 기법의 기본적 분류 재료 탐색 다양한 미술 매체들을 탐색하며 새로운 감각 경험을 통해 치유작업을 한다. 미술이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다른 방식으로 매체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된다 기존의 주제를 전혀 다른 매체를 사용해 만들어보는 것 역시 새로운 이미지들을 탐색해 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모방해서 따라 만들기 혼란스러운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어떠한 틀이 제공되는 것이 내담자의 감정을 버텨낼 수 있도록 안정감과 힘을 주기도 한다. 이는 미술치료사가 먼저 시작하고, 비슷하게 완성된 작품을 보여주는 것이 좋다. 또 약간의 자극이 될 수 있는 것을 더해줄 때 창조성이 풍부하게 발현된다. 자극 제시 - 밑그림 또는 기초적 틀을 여러 가지를 준비해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 그..

미술재료의 특성 고려하기 조절이 가능한가 매체의 특성 중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 중 하나이다. 같은 회화 재료에서도 연필은 조절이 쉽지만, 물감은 유동성은 있으나 조절하기 어려움이 있다. 복원 가능성 한 번 그린 뒤 지워낼 수 없는 재료와 지울 수 있는 재료, 석고와 같이 한번 사용하며 원상 복귀가 어려운 재료와 점토와 같이 형태를 계속 바꿀 수 있는 재료 등을 구분할 줄 알며 적용시켜야 한다. 색의 농도 색연필과 같이 색의 농도가 흐릿한 싸인펜, 마커와 같이 매체와 색감이 명확한 매체들의 다양한 가능성들을 고려할 줄 알아야 한다. 목적에 따른 재료 선택 연필이나 색연필로는 세밀한 묘사가 가능하고, 굵은 붓과 물감으로는 넓은 면적의 색칠이 가능하다. 이처럼 매체를 목적에 맞게 선택할수 있도록 배려해야 ..

미술치료 매체와 속성과 기법 미술치료의 재료 - 연필, 색연필,파스텔, 콩테, 목탄, 크레용,사인펜, 마카, 물감 등이 있다. - 가장 기본적인 재료이다. - 그림검사의 목적으로 특정 재료만 사용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면 미술치료시간에는 회화재료를 거의 늘 제공한다. - 회화 재료는 주로 그리는 사람의 생각과 사고에 접근하기 좋은 재료이다. - 연필: 누구나 쓰면서 가장 친숙한 재료가 된다. 스케치만으로도 충분히 마음을 표현할 수 있을 뿐더러, 불펜이나 색펜으로 표현하지 못하는 감성을 표현할 수 있다. - 물감: 물감은 물에 개어서 사용하는 수채화 물감, 손으로 직접 찍어서 쓰는 핑거 페인트, 물을 더 타지 않아도 쓸 수 있는 템페라 페인트, 그 외에는 아크릴 물감과 유화 물감, 젯소 등이 있다. - 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