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그늘

인물화검사의 신체특징에 따른 해석 본문

그림 심리진단

인물화검사의 신체특징에 따른 해석

마쏨 2020. 8. 21. 13:47
반응형

<인물화의 신체특징에 따른 해석>

머리
인지적 능력과 공상 활동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머리의 생략
: 사고장애와 신경학적 장애 가능성이 있다. 지적능력에 대한 자신감 결여

머리의 크기와 형태
: 과도하게 큰 머리는 지적능력에 대한 불안을 보상하려는 시도
그러나 피검자의 연령특성을 충분히 고려해야한다.
작은 머리는 지적능력과 공상세계에 관련된 부적절감의 표현.
세모나 네모 모양으로 머리모양을 왜곡한 경우도 지적능력의 장애와 왜곡가능성을 의심할 수 있다.

머리카락
: 외모와 타인에게 보이는 자신의 인상에 대한 관심과 관련.
머리카락의 생략은 어린유아에게서는 흔하나 높은 연령에서 나타난다면 외모에 대한 자신감결여 및 위축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머리숱이 지나치게 많고 강조된 그림은 자기주장이 강하며 공격적인 태도의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자신의 외모나 성적 매력에 대한 과잉 보상적 행동일 가능성이 있다.
머리숱이 지나치게적다면 성적인 면에서 수동적이거나 억제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머리와 몸의 연결
: 머리와 몸이 연결되지 못하고 떨어져 있는 경우, 정신과 신체의 적절한 연결성의 결여 가능. 따라서 사고장애나 신경학적 장애를 의심해 볼 수 있다.



얼굴

얼굴의 방향
: 옆얼굴이나 뒤통수를 그렸다면 현실에 직면하는 것의 어려움을 의심할 수 있다.

수염
: 쾌락과 남성성의 강조


: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는가에 대한 정보제공.
눈의 생략은 타인과의 감정교류에 대한 불안. 지나치게 큰 눈은 예민함,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위축되어 있음.
눈의 지나친 강조는 방어적 태도, 긴장, 불안, 편집증적인 경향성을 의미할 수 있다.

눈의 모양
: 눈동자의 생략은 내적 공허감, 점 또는 가느다란 선은 자신의 감정표현에 한계를 경험하고 있다는 신호, 눈꺼풀이나 속눈썹은 타인과 정서적으로 교류하는 것에 과민해져 있거나 불필요한 집착 가능.
정교한 속눈썹표현은 강박 또는 히스테리적 성격, 자기애적 성격성향을 나타낸다.

눈썹
: 눈썹이 그려진 형태로 좌우되는 인상에 따라 내적 감정 상태를 추론해 볼 수 있다.


: 타인으로부터 정보를 수용하는 통로로, 정서자극을 수용하고 반응하는 방식을 나타낼수 있다.
따라서 귀의 생략 또는 감춤은 외부와의 단절, 감정교류의 회피경향과 위축 가능성, 과도하게 큰 귀는 대인관계에서의 예민함 반대로 작은 귀는 정서자극의 회피경향.
귀의 지나친 강조는 감정교류에 대한 불안 또는 긴장감을 시사한다.
불신이나 의심과도 관련될 수 있다.

귀걸이
: 과시욕. 대인관계에 대한 불안을 보상하고자 하는 욕구.
남성의 귀걸이는 반항 또는 거부적인 태도 가능


: 외모에 대한 관심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코의 생략은 자신의 외모가 타인에게 어떻게 보일까에 대한 예민함과 두려움.
지나치게 큰 코는 외모에 대한 지나친 관심, 반대로 작은 코는 외모에 대해 자신감 없고 위축되어 있을 가능성.
콧구멍의 강조는 대인 관계에서 미성숙한 태도를 반영한다.


: 애정의 교류와 직접적인 의사소통을 반영.
입의 생략- 존재감과 가치감에서 자신에 대한 좌절, 무능감, 양가감정을 느낄 가능성
지나치게 큰입- 타인과의 정서와 애정교류에 있어 과도한 불안 또는 적극성.
지나치게 작은 입- 내적으로 상처를 받지 않기 위해 정서적 상호작용의 회피, 타인의 애정에 대한 거절 가능성.
입의 모양- 지나치게 단순, 간결하다면 타인과의 정서적 교류에서 무감각하고 냉정한 태도를 보일 수 있다.
냉소적인 비웃음은 적대감의 내재, 웃는 모습은 타인의 애정에 대한 갈구, 무력하게 벌려진 입은 수동적인 태도를 반영할 수 있다.
입에 담배 등 다른 물건을 물고 있는 모습을 그린다면 타인으로부터 정서적 지원을 받기보다는 스스로 내적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성향이 있는 것으로 타인의 거절에 대한 불안을 보상하고자 할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이빨
: 5세 이하의 유아의 경우 행복감이나 기쁨의 표현으로 볼 수 있으나
이후 연형에서는 애정욕구충족에서의 좌절, 정서적 상처에 대한 불안을 나타낼 수 있다.
이빨의 정교한 강조는 자신의 불안을 보상하기 위해 역으로 공격을 취할 가능성을 나타내며 타인과의 정서적 교류에서 미성숙함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 자기주장성과 관련.
턱의 생략- 대인관계에서의 수도적
지나치게 큰 턱- 자기 주장이 지나쳐 공격적인 행동을 할 가능성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