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식 분석>
그림을 어떻게 그렸는가에 대한 분석
음영과 그림자
각 그림에서 음영이나 그림자가 나타난 대상에 관심을 두고, 그 대상이 의미하는 바와 관련된 불안이나 심리적 갈등으로 해석
음영
: 주위환경에 대해 긴장감을 가지고 있거나 과민한 성향으로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자아를 보호하려는 기제가 적용한 것.
따라서 불안, 종속성, 잠재적 적의, 심적 외상이 되는 기억의 억압을 나타낼 수 있음
그림자
: 그린 대상이 불안을 야기한 갈등존재일 가능성
그림자의 방향
: 오른쪽-미래에 대한 불안. 왼쪽- 과거와 관련된 불안
지움
너무 잦은 지우개 사용과 되풀이 되는 수정: 자신감저하, 결단력 부족, 심한 불안과 높은 요구수준, 강박성향 가능성
지우개를 사용하지 않고 X표시를 하거나 뒤션 사용: 반항성, 공격성, 자기 불확실성 나타낼 수 있다.
대칭
대칭성의 결여: 부주의, 불안, 정신지체 등 뇌기능상의 문제
과도한 대칭성: 강박, 감저의 지나친 억제
투영성
유아가 아닌 이상 병리적 상태에 대한 증거. 현실검증력의 문제 가능성있음
논리적으로 보이지 않는 곳에 대한 묘사: 검사에 대한 저항 또는 부주의, 낮은 지능, 흥분상태, 관음증의 성향을 가질 가능성 있다.
원근과 조망
위에서 아래로: 인간관계나 그린 인물에 대한 거부감, 자신을 우월하게 생각함, 환경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으려는 태도
아래에서 위로: 인간관계, 혹은 환경 내에서의 열등감, 은둔적 성향
정면: 솔직함, 자기노출, 자신의 존재를 나타내려는 성향
뒷모습: 거부적 태도
옆모습: 도피성향, 타인에 대한 거부감
몸이 정면을 향한 옆모습: 사회생활에서의 위화감, 신체노출성향, 정직하지 못함, 퇴행경향
상세함과 생략
상세함의 결여: 관습을 무시하는 반항적인 성향, 낮은 지능, 낮은 에너지 수준, 우울 등 정서적 혼란
과도한 상세함: 강박적 성향, 상세 표현된 부분과 관련된 갈등
생략: 생략된 부분과 관련된 갈등
운동
집그림에서의 운동 표현은 드물지만 나무와 사람그림에서 표현된 운동은 해석
그림속의 운동이 격렬한가, 부드러운가?
자발적인가, 강제로 하는 것인가?
유쾌한가, 불쾌하게 하는 것인가?를 관찰할 수 있다.
적극적 운동: 명랑, 활동적, 적극성, 그러나 지나친 활동성은 자기 과시 노출성향
소극적 운동: 낮은 에너지 수준,피로, 부적절감, 의존성향
기타
지면선 테두리: 안정에 대한 욕구, 의존, 타인의 인정 또는 보증을 바라는 욕구
오른쪽에 높게 그려진 지면선: 미래에 대한 기대
왼쪽에 높게 그려진 지면선: 미래에 대한 위기감으로 과거로 퇴행하려는 경향
좌우가 아래로 쳐진 지면선: 어머니에 대한 의존, 자기과시, 노출성향
강하게 그려진 지면선: 불안의 존재
그림의 균형결여: 정신적인 불안과 갈등으로 현실감각의 상실
도식적 인물화 또는 막대기 인물: 자신의 모습을 감추려는 방어적 태도, 경직, 현실감각의 상실 가능
날씨의 표현: 피검자가 환경에 대해 가지는 감정. 환경에 적의를 가지거나 압력을 받고 있다고 느낄 때에는 불쾌한 날씨로 표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