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채점 지표>
심리학자들은 임상가의 해석에 객관적인 참조 기준을 마련하고자 여러 가지 투사적 그림 검사에 대한 채점 및 해석지표들을 발전시켜왔다.
<Malony와 Glasser의 부적응지표>
적응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을 구분하기 위한 척도
생략
: 그림에서 의미 있는 세부묘사가 생략된 경우(눈, 입, 팔, 다리, 발 등)
투명성
: 신체 부분들이 팔, 다리, 옷 들을 통과하여 보이거나 심장, 위 같은 장기들이 표현된 경우
왜곡
: 신체 부분들이 매우 부적절한 비율로 그려지거나(지나치게 크고 긴팔, 지나치게 작은 머리 등), 신체 부분들이 적절히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잘못된 영역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팔이 몸통 중간에 연결됨)
수직적 불균형
: 인물이 45도 이상 기울어진 형태로 그려진 경우
머리의 단순화
: 머리가 과도하게 단순한 형태로 그려진 경우
신체 단순화
: 신체를 과도하게 단순한 형태로 그려진 경우
전반적인 수준의 빈약함
: 묘사의 정확성이나 예술적 수준과 같은 그림의 전반적인 질, 세부묘사와 관련된다. 인상에 근거하여 9점 척도상에서 채점(1점-빈야함, 9점-우수함)
성별의 변별
: 여성의 특성 혹은 남성의 특성이 명확히 드러나는지를 알아보는 것으로 9점 척도상에서 평가(1점-성별 특징이 모호함, 9점-명확함)
성적 표현
:성과 관련된 세부묘사의 정도(가슴, 성기, 과도한 화장 등)
<Oas의 충동성 지표>
충동성지표에서 3개 이상의 항목에 해당될 때, 비충동성지표에서 5개 이상의 항목에 해당될 때 임상적으로 의미 있다.
* 충동성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지표
** 비충동성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지표
-충동성 지표-
* 완성시간
: 각 인물(남자, 여자)을 그리는 데 걸리는 전체 시간이 5분 이하인 경우
* 공격성
: 다음에 제시되는 것 가운데 한 가지 이상이 그림에 나타나는 경우->이, 칼, 총, 폭탄, 막대기 형상 인물, 피, 공격적인 움직임의 표현 혹은 곤봉
* 전반적인 질
: Harris혹은 Koppitz의 채점 체계에 의해 정의 된 것으로서 전반적인 그림의 질이 빈약한 경우
* 불연속성
: 머리, 몸통, 목, 팔, 다리, 발 가운데 적어도 두 부분에서 정상적으로 연결되어지는 선이 비연속적으로 중복되는 경우
* 생략
: 다음의 신체 영역이 생략된 경우- 머리, 몸통, 목, 손, 팔, 다리, 발, 머리카락, 손가락(만일 손이 등 뒤로 향해 있다면 채점하지 않음)
* 특별한 생략
: 코, 눈동자, 눈, 그리고 손가락이나 손 가운데 한 가지 이상 생략된 경우
* 비율
: 머리, 몸통, 얼굴, 팔, 다리 가운데 적어도 한 부분에서 비율이 적절하지 않는 경우
크기 증가
: 몸통의 높이에 있어서 6인치, 너비에 있어서 3인치를 초과하는 겨우
목
: 목이 생략되거나 머리 길이의 2/3보다 더 긴 경우
자세
: 다리가 신체 중앙선으로부터 22.5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
어깨
: 어깨가 부적절하게 연결되거나 직각으로 그려지지 않은 경우
계획성의 부족
: 기면에 그림을 다 그리지 못하여 그림의 일부가 잘리거나, 잘못 그렸을 때 지우지 않고 처음부터 다시 그리는 경우
-비충동성 지표-
좌우대칭, 균형
: 그림에 균형감이 있고, 팔, 다리, 눈, 귀, 발과 같은 신체 쌍 부분에 있어서 적어도 세 영역에서 좌우대칭을 보이는 경우
** 세부묘사
: 다음 항목 가운데 다섯 가지 이상이 표현된 경우
-> 귀걸이, 목걸이, 반지, 팔찌, 브로치, 구두끈, 헤어스타일, 안경, 바지, 벨트, 스커트, 단추, 지퍼, 신발, 양말
** 완성시간
: 여성, 남성 그림 모두를 그리는 데 8분 이상 걸릴 경우
위치
: 인물상의 3/4이 종이 이등분선의 하단에 속하는 경우
** 스케치
: 팔, 다리, 몸통, 머리와 같은 신체 부분을 그릴 때 스케치 방식을 사용한 경우
지우기
: 다음의 신체 부분들을 완전히 지우고 다시 그리는 경우-> 발, 다리, 몸통, 손, 팔, 손가락, 머리, 얼굴, 다른 대상을 잡고 있는 손, 다른 물건들, 혹은 인물 전체
크기
: 머리에서 발까지의 길이가 4인치보다 작거나 너비 길이가 2인치보다 짧은 경우
성별을 그린 순서
: 피검자와 반대 성의 사람을 먼저 글 경우
** 눈을 강조
: 다음의 내용 가운데 두 가지 이상이 표현된 경우
-> 안경, 눈썹, 속눈썹, 큰 눈, 각막 세부묘사, 음영이 있는 눈, 눈동자
오른쪽으로 치우친 그림
: 그리의 중앙선이 종이의 중앙선에서 1인치 이상 오른쪽으로 치우친 겨우
조망
: 옆모습을 그리거나 뒷모습을 그린 경우
** 입의 세부묘사
: 아랫입술과 윗입술을 2차원적으로 묘사한 경우
** 음영
: 다음의 신체 부위를 2번 이상 표현하거나 옷의 색을 치하기 위해 음영을 사용하는 경우
-> 발, 손, 몸통, 팔, 눈, 입, 다리, 목, 스커트, 바지 혹은 옷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