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면 작업>
종이반죽 가면
준비물: 풍선, 신문지, 물감, 양모, 깃털, 콜라주 등
종이반죽: 밀가루3컵(반죽시 너무 끈적이면 조금 더 추가), 소금1/3컵, 식물성 기름 2큰술, 물 1컵, 식용색소 약간(원할 경우)
과정: 종이반죽 준비물을 잘 섞어 준다. 내담자에게 풍선을 불게 한 후 신문지를 자르거나 찢어서 종이반죽에 적시도록 한다. 매장 등에서 구매한 반죽을 사용해도 좋으며
설명 부분에 나와 있는 만드는 법을 사용해도 좋다.
내담자에게 신문지 조각들을 풍선에 풍선둘레의 3/4정도 만큼 붙이도록 지시한다.
풍선이 24시간~48시간 동안 건조되도록 둔다.
풍선이 다 마르면 핀으로 풍선을 터트리고, 굳은 종이 반죽을 가면처럼 보이고 얼굴을 덮을 수 있도록 자른다. 내담자는 물간, 비즈, 양모 등으로 가면을 장식해도 된다.
얼굴을 만들 때에는 코 입술, 턱, 눈썹 등을 종이 반죽에 적신 종이 타월을 사용해 빚어 넣을 수 있다.(점토 반죽을 사용할 떄와 같은 방법으로)
종이 반죽에 담근 신문지와 마른 종이 타월을 합치면 건조가 빨리 될 것이다.
종이나 밀가루 반죽 외에 석고붕대 사용도 가능하다.
토론 및 목표: 토론은 가면을 만든 기술의 난이도와 가면이 자신을 나타내 주는 방법,
가면의 용모와 표정 등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목표는 감정과 자아상의 탐구이다.
알루미늄 포일 가면
준비물: 알루미늄 포일, 풀, 가위, 깃털 양모, 뜨개실, 스팽긍, 마커, 단푸와 기타 액세서리 등
과정: 내담자의 얼굴을 가릴 수 있을 만큼 커다랗고 두꺼운 알루미늄 포일 조각 2장을 잘라낸다.
내담자의 얼굴의 특징이 어느 정도 또렷하게 보일 수 있도록 내담자 얼굴 위에 포일을 놓고 눌러 준다(포일이 잠시 동안 얼굴 위에 놓이기 때문에 내담자가 이 과정을 편안하게 느끼는지 확실하게 아아본다.
그렇지 않다면 치료사는 자신의 얼굴에 포일을 놓고 눌러서 내담자가 그 윤곽을 가지고 가면으 완성하도록 한다.) 내담자가 포일을 얼굴에서 뗴어 책상 위에 천천히 올려놓도록 한다.
또한 포일이 가면 같은 모양을 띠도록 가장자리를 둥글게 만들어 준다.
이제 어떤 방식으로든 내담자가 원하는 대로 가면을 장식하도록 한다. 내담자는 눈을 위한 구멍을 낼 수도 있지만 이 가면은 착용하기 위해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 단지 장식용 가면이기 때문에 꼭 눈을 뚫어 줄 필요는 없다.
토론 및 목표: 토론은 만들어진 인물 및 내담자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이 활동의 목표는 감정의 표현과 추상적 사고 증진이다.
익살스러운 가면
준비물: 플라스틱 또는 종이로 된 반가면 풀 가위, 스팽글, 반짝이, 단추, 깃털, 뿡뿡이 및 기타액세사리 등
과정: 내담자에게 ‘내 안의 코미디 언’을 나타낼 수 있는 가면을 만들도록 제시한다.
토론 및 목표: 토론은 가면에 나타나는 유머에 초점을 맞춘다. 내담자에게 자신의 유머 감각을 표현하는 기타 방법들을 묘사해 보라고 한다.
개인의 인생에서 유머의 중요성과 유머가 어떻게 스트레스, 혈압, 걱정 등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지 탐구해 본다.
웃음의 이점과 내담자들이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고찰해 본다. 유머가 어떻게 효좌적인 문제 해결 방안이 될 수 있는지 토론해 본다. 예를 들어 코미디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스트레스를 경감시켜 주듯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