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그늘

미술치료의 미술재료 종류 본문

미술치료학

미술치료의 미술재료 종류

마쏨 2020. 6. 20. 21:45
반응형

미술치료 매체와 속성과 기법

미술치료의 재료
<회화재료>
- 연필, 색연필,파스텔, 콩테, 목탄, 크레용,사인펜, 마카, 물감 등이 있다.

- 가장 기본적인 재료이다.

- 그림검사의 목적으로 특정 재료만 사용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면 미술치료시간에는 회화재료를 거의 늘 제공한다.

- 회화 재료는 주로 그리는 사람의 생각과 사고에 접근하기 좋은 재료이다.

- 연필: 누구나 쓰면서 가장 친숙한 재료가 된다. 스케치만으로도 충분히 마음을 표현할 수 있을 뿐더러, 불펜이나 색펜으로 표현하지 못하는 감성을 표현할 수 있다.

- 물감: 물감은 물에 개어서 사용하는 수채화 물감,
손으로 직접 찍어서 쓰는 핑거 페인트, 물을 더 타지 않아도 쓸 수 있는 템페라 페인트,
그 외에는 아크릴 물감과 유화 물감, 젯소 등이 있다.

<종이류>
- 켄트지, 머메이드지, 미똉스지, 디자이너스지, D.S지, 탄트지, 삼원칼라 종지,
색종이, 한지, 티슈 페이퍼, 시트지, 펠트지, 갱지(시험지), 소포지, 포장용 종이 등이 있다.

- 표면의 질감이나, 색상의 종류, 종이의 크기에 따라서 준비 할 수 있다.


<각종 화면용 재료>
- 기본적 종이 외에도 알루미늄 호일, 기름종이, 골판지, 우드락 보드, 플라스틱 판넬,
아크릴 판, 종이 쇼핑백, 서류봉투, 명함, 노트, 우편봉투, 종이 박스 등등 다양하게 있다.

- 이러한 것들 모두가 창작을 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면,
내담자가 자신만의 감정, 기억 등을 떠올려 작업하도록 도움 주는 재료들이다.


<붓>
- 모든 물감에는 대부분 붓이 필요한데 되도록이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좋은 붓을 준비해두는게 좋다.
- 둥근 붓, 납작 붓, 넓은 붓 등 크기나 모양 별로 구비하자.


<점토류>
- 밀가루, 전분, 식용색소, 천사점토, 아이클레이, 하비 볼클레이, 칼라밀, 플레이도우,
고무점토, 도예용 점토 등이 있다.

- 직접 손으로 만지고 주무르면서 촉감 발달에 도움이 된다.

- 형태를 만들어 내는 것도, 혹은 형태가 없는 것도 내담자가 작업 과정에 몰입할 수 있다면 모두 다 도움이 된다.

- 직접 몸으로 부딪혀서 작업 하는 것이므로 그 성질상 보다 원시적이며 자연스럽게
퇴행을 촉발하는 경향이 있고, 유독 점토작업에서 행동적으로나 감정적으로 퇴행을 보이는 경향이 강한 편이다

- 따라서 점토 작업을 준비할 때는 내담자의 발달 수준을 체크할 필요가 있다.
지체장애나 발달장애가 있는 아동의 경우, 점토 작업을 하다가 재료를 먹거나 핥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식용으로도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색을 낼때도 마찬가지로 식용색소를 사용한다.

- 손에 묻는 것을 극도로 싫어하거나 물기 많은 흙을 잘 다루지 못하는 내담자들에겐 손에 묻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도록 한다.

<다양한 오브제 재료>
- 작업 도구: 가위, 탈, 자, 풀, 테이프, 글루건 등
- 부드러운 재료: 깃털, 솜, 뿅뿅이, 가제 붕대, 석고 붕대 등
- 딱딱한 재료: 구슬, 단추, 스팽글, 색 모래, 색 자갈, 나무 조각, 스티로폼 등
- 끈 재료: 털실, 노끈, 종이끈, 장식끈, 모루, 철사, 공예철사, 빵끈 등
- 기타: 과자, 음식 재료, 스티커, 스탬프, 각종 잡지, 신문지 등

오브제라는 것은 기존의 미술재료와 주제로부터 더 확장해서 여러 가지 사물이나 물건,
대상이 포함될 때를 의미한다.

반응형

'미술치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치료 기본적 기법  (0) 2020.06.21
미술치료의 재료 특성과 주의사항  (0) 2020.06.20
미술치료에서 미술작업의 역활  (0) 2020.06.19
정신장애의 종류(3)  (0) 2020.06.18
정신장애의 종류(2)  (0) 2020.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