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미술치료의 준비
- 미술작업의 개입
- 미술치료에서의 자기인식
- HTP검사 실시방법
- 미술치료
- 미술치료의 자기인식
- 그림심리진단
- 자기인식 기법
- 그림심리검사
- 미술치료 연결하기
- 인물화검사의 해석
- 인물화검사 신체특징에 따른 해석
- 피아제의 인식론
- 정신장애
- 예술상담
- 그림검사 신체특징 해석
- 미술치료기법
- 정신장애의 종류
- 인물화검사의 채점 및 해석
- 미술작업 후 대화하기
- 미술치료 초기기법
- dsm-5
- 인물화검사
- 그림구조분석
- HTP검사의 해석
- HTP검사
- 그림의 구조분석
- 그림검사의 종류
- 미술치료의 개입
- HTP검사의 채점
- Today
- Total
나무그늘
미술치료에서의 자기 인식 본문
자기 인식과 자기 탐색
미술치료에서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는 통찰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지금까지 인식하고 있던 자기의 생각이나 감정과 다른 심리 상태를 발견할 경우
과거와 현재를 이해하는 계기가 된다.
미술치료는 사람의 환경이나 조건, 상황을 바꾸어주지 않는다. 다만 그 환경과 조건, 상황을 보는 눈을 바꾸고자 할 뿐이다.
사람이 행복과 불행을 느끼는 것은 그에게 주어진 삶의 조건 자체 때문이 아니라 그 조건을 해석한 방식이 원인이 된다.
삶의 조건이 바뀌지 않더라도 그것에 대한 해석이 바뀐다면 자신의 감정도 바뀔 수 있다.
자기 인식과 관련한 미술 작업들은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는지를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내주며, 이것은 많은 사람에게 참신하고 사색적인 경험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내면의 상처가 많거나 심한 경우, 기능이 손상된 사람들에게는 너무 직면적인 작업은 피하고, 간접적인 주제로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방법들이 더 적합하다.
자신을 의식하기
의식한다는 것은 내담자들로 하여금 이 순간 ‘현재’에 자신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지각 활동이다
‘의식하기’
평온함과 차분함을 제공하고, 비록 잠시지만 갖가지 잡념과 불안감 그리고 스트레스로부터 해방 시켜줄 수 있다.
구성원들은 최선을 다해 지금 이 순간을 만끽하고 밀려오는 잡념을 무시할 수 있도록 집중해야 한다.
자기 스스로 집중하고 생각하는 습관을 받아들이는 것이 강조된다.
구성원들은 자신의 생각이 옳고 그름을 판단할 것이 아니라 생각 자체가 활동의 중심이 되도록 해야 한다.
치료사는 내담자가 자신의 개성을 자각하고 자신들의 감성을 이용해 창조적 체험을 할 때마다 최대한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줘야한다.
의식하게 하는 것의 궁극적인 목표는 내담자가 ‘지금 여기’에 살아가며 자신들의 행복을 될 수 있는 한 감사하게 여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 매 순간을 의식할 수 있다면 내다자들의 스트레스는 줄어들고 자신들이 갖고 있는 것들, 예를 들면 가족들의 사랑, 예술, 음악, 자연의 선물들(아름다운 저녁노을, 다채로운 가을 나뭇잎들, 예쁜 꽃, 보름달, 방금 마 잘린 잔디행 등)에 눈을 뜰 수 있을 것이다.
치료사의 미술작업을 통한 자기인식
‘Me and my shadow’

미술치료사인 저자가 자신의 ‘그림자’들을 다루기를 거부하고 있는 스스로의 모습을 작업한 작품이다.
자신의 그림자 등과 같은 작품에서의 세세한 의미들에 대해 설명을 깊게 하지 않고 작품이 가지고 있는 감정적인 내용에 대해서만 잠깐 언급하는 방식으로 내담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두가지의 상반된 것을 어떻게 표현되고 다루어 가는지를 이미를 통해 보여줄 수 있다.
‘This is not easy work’

미술치료사로 일하는 것에 대한 자신의 느낌을 미술작업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미술치료사의 일이 단지 내담자를 평가, 진단, 치료하는 것만이 아닌 건강한 역할 모델로서의 존재가 되어야 함을 인식했다.
“기꺼이 자신이 말하는 대로 살려는 태도가 곧 상담가를 치료적인 사람을 만들 수 있다”
“치료사가 자기 인식이 부족하면 치료의 초점이 내담자의 욕구에서 자신의 욕구로 옮겨질 수 있다.”
-심리치료사 Corey-
치료사는 자신의 개인적 욕구와 궁극적인 관심을 제대로 인식해야 한다. 자신에 대해 구체적인 감각이 없는 미술치료사는 본의 아니게 내담자의 자기 탐색과 자기표현을 방해할 수 있다.
‘Critic’

미술치료사 Allen의 창조적인 미술작업을 하는 데에 있어 저항을 보이는 내부의 비평가의 목소리를 탐색한 작품이다.
누구에게나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내부의 비평가가 존재하며, 그림 속의 웃고 있는 동물들이 자신의 여러 먼의 내부적 비평가를 상징한다.
발을 구르면서 시계를 보는 동물을 미술 작업을 하면서 자신을 들여다 보려고 하는 것 자체가 시간을 나이하는 것임을 의미한다.
'미술치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인식에 관한 미술치료 기법(2) (0) | 2020.07.20 |
---|---|
자기인식에 관한 미술치료 기법 (0) | 2020.07.15 |
미술작업 후 대화하기: 관찰하기, 발견하기, 연결하기 (2) (0) | 2020.07.13 |
미술작업 후 대화하기: 관찰하기, 발견하기, 연결하기 (0) | 2020.07.11 |
미술치료 과정과 기법: 종료기 (0) | 2020.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