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그늘

그림검사의 종류 본문

그림 심리진단

그림검사의 종류

마쏨 2020. 8. 9. 19:01
반응형

<단일대상 그림검사>
그림검사에서 무엇을 그리도록 하는가에 따라
피검자의 심리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접근해 들어갈 수 있는 다양한 길이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통로를 통해 우리는 피검자의 심리상태에 대해 더욱 유연하고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검사의 도구로서만이 아니라
치료적 대화나 자기표현의 기회를 가지도록 다양한 대상과 상황 그림을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자화상 검사
자화상을 그려보도록 하는 검사로서, 자기개념과 신체상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검사이다.


자화상을 그려보도록 한뒤 부가적인 인물(Additional Person)검사를 함께 할 수 있다.
이는 자신의 자화상에 다른 사람을 부가적으로 그려보라는 검사로, 주로 인물의 크기를 통해 중요한 타인의 존재, 자존감, 특정인물에 대한 감정이나 생각 등을 알아보는 시도이다.


빗속의 사람그림검사
빗속의 사람 그림(Draw-a-Person-in-Rain)검사는 사람을 그리되 빗속에 서 있는 사람을 그리라는 상황을 주는 그림검사로,
사람이 현재 겪고 있는 스트레스의 양과 이를 방어기제의 와해나 퇴행 없이 얼마나 잘 다루고 있는가를 측정한다

여기서 비는 스트레스를 나타내며,
비의 양은 현재 겪고 있는 스트레의 양,
우산, 비옷, 나무와 같은 비막이 도구들을 방어기제를 나타낸다고 가정한다.
비 = 스트레스
비의양 = 스트레스양
우산, 비막이(비를 피하거나 막을수 있는것) = 스트레스의 방어기제

아동들에게는 빗속의 아이 그림(Draw-A-Child-In-The-Rain)을 그리는 것으로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나무그림검사
Buck이 개발하고 Buck과 Hammer과 발전시킨 HTP검사 중 나무 그림을 그려보게 하는 검사로 무의식적인 수준의 성격구조를 드러내주는 그림으로 간주된다.


동물그림검사
아동에게 많이 사용되며, 자신이 원하는 어떤 동물이든 마음대로 그려보게 함으로써
자기구조(self-structure)보다 원초적인 측면을 파악할 수 있다.

사람그리기를 거부하는 경우에는 이 검사로 대처할 수 있다.


집 그림 검사
HTP 중 하나로 요구되는 그림으로, 집은 피검자가 내면에 가지고 있는 가족, 가정생활, 가족관계, 가족구성원 각각에 대해 가지고 있는 표상, 생각, 그와 관련된 여러 감정, 소망들이 투영되어 나타난다.


집은 일차적으로 사람이 사는 곳이기 때문에 그 사람의 자아, 현실과 관계를 맺는 정도와 그 양상, 그리고 개인의 내적 공상에 대해서도 정보를 줄 수 있다.



<가족그림검사>
가족그림검사는 피검자가 집단 내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집단 구성원들 간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집단 내에서의 심리적 적응의 상태와 문제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학교나 회사등 특별한 피검자가 속해있는 다양한 집단의 상황을 그림으로 그려보도록 요구할 수 있다.


비운동성 가족그림검사
Hulse에 의해 개발된 DAF(Draw-A-Family)검사로 자신의 가족을 그려보게 한뒤
그림속의 인물들과 자신이 그린 그림에 대해 자유롭게 설명해보도록 하는 검사이다.


가족화는 아동의 심적 갈등이 생겨나게 된 초기 원인,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 오이디푸스 갈등(Oedipus complex)의 해소 정도, 자기 개념 및 불안, 그리고 공상세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운동성 가족그림검사
Burns와 Kaufman에 의해 개발된 KFD(Kinetic Family Drawing)검사로 자신의 가족 모두를 그리되 무엇인가를 하고 있는 내용으로 그리도록 하는 점에서 DAF와 차이가 있다.

운동성 가족그림검사는 정적인 인물보다는 그림 내 인물들의 행동이나 움직임에 초점을 두게 되는데,
각각의 가족구성원이 어떠한 상태, 행동을 하고 있으며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묘사되어 있는가에 초점을 두게 된다.

운동성 가족그림검사는 비운동성 검사에 비해 더 풍부하고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물가족그림검사
직접 사람을 그림으로써 가족을 묘사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거나 방어적인 태도 또는
불안을 나타내는 경우 가족을 동물로 묘사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가족을 동물로 나타낼 때 모든 가족구성원들이 유사성을 가진 동물로 표현되는가, 다른 가족들과는 달리 다른 종류의 동물로 표현된 인물은 누구인가를 살펴봄으로써 가족관계의 역동성을 파악할 수 있다.

동물생태계의 먹이사슬관계를 적용시켜 가족구성원들 간의 힘의 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학교그림검사
아동이 학교상황(사회집단)에서 자신을 어떻게 지각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
학교에서 아동 자신과, 교사, 친구 한명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그림을 그려 보도록 한다.
이 검사는 학교적응과 또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림을 해석할 때는 학교에서 자신의 모습을 어떻게 그리는 지, 선생님과 친구들에 대하여 아동이 어떤 행동을 하고 있는지가 중요한 요소로 고려된다.


반응형

'그림 심리진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물화검사의 채점 및 해석  (0) 2020.08.13
그림검사의 종류(2)-이야기구성 검사  (0) 2020.08.10
그림의 내용분석  (0) 2020.08.08
그림의 구조분석(3)  (0) 2020.08.06
그림의 구조분석(2)  (0) 2020.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