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미술치료의 준비
- 미술작업 후 대화하기
- 인물화검사의 해석
- 인물화검사
- 정신장애의 종류
- 미술작업의 개입
- 미술치료의 개입
- 그림심리진단
- 미술치료 연결하기
- HTP검사
- 자기인식 기법
- HTP검사의 채점
- 인물화검사 신체특징에 따른 해석
- 미술치료기법
- 그림심리검사
- 미술치료 초기기법
- 그림의 구조분석
- 미술치료에서의 자기인식
- HTP검사 실시방법
- 피아제의 인식론
- 인물화검사의 채점 및 해석
- HTP검사의 해석
- 미술치료
- 그림구조분석
- dsm-5
- 예술상담
- 미술치료의 자기인식
- 그림검사 신체특징 해석
- 그림검사의 종류
- 정신장애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6)
나무그늘

미술치료 매체와 속성과 기법 미술치료의 재료 - 연필, 색연필,파스텔, 콩테, 목탄, 크레용,사인펜, 마카, 물감 등이 있다. - 가장 기본적인 재료이다. - 그림검사의 목적으로 특정 재료만 사용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면 미술치료시간에는 회화재료를 거의 늘 제공한다. - 회화 재료는 주로 그리는 사람의 생각과 사고에 접근하기 좋은 재료이다. - 연필: 누구나 쓰면서 가장 친숙한 재료가 된다. 스케치만으로도 충분히 마음을 표현할 수 있을 뿐더러, 불펜이나 색펜으로 표현하지 못하는 감성을 표현할 수 있다. - 물감: 물감은 물에 개어서 사용하는 수채화 물감, 손으로 직접 찍어서 쓰는 핑거 페인트, 물을 더 타지 않아도 쓸 수 있는 템페라 페인트, 그 외에는 아크릴 물감과 유화 물감, 젯소 등이 있다. - 켄트..

미술치료에서 말하는 미술작업이란 어떤 작용을 하며 어떠한 역활들을 가지고 있나, 미술은 한 개인의 모든 것을 포함한다. 인간의 뇌의 좌우반구에 모두 관련있으며 효과적으로 상호 작용하고있다. 뇌의 일차과정과 이차과정이 상호 보완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미지는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도와준다. 시각적인 생각(Visual thinking) 우리 생각의 많은 부분이 시각적(꿈, 환상, 환각 등)이며 이미지의 형식을 띄고 있다. 의식 수준의 많은 부분이 visual thinking, 비언어적 소통을 가지고 있다. 기억은 언어 이전의 상태에 있거나 금지된 내용이기도 한다. 말하기 어려운 학대의 고통이나 언어 전 단계 수준에서 기인된 많은 장애 혹은 그 시기에 고착되고 왜곡된 내면을 미술을 통해 표현하고, 보고, 수..

강박 및 관련 장애(Obsessive-Compulsive and Related Disorders)의 종류 강박적인 집착과 반복적인 행동을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일련의 장애를 포함하고, DSM-5에서 처음으로 독립된 장애범주로 제시했다. -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 불안을 유발하는 부적절한 강박 사고(예: 성적이거나 불경스러운 생각, 더러운 것에 오염될 것에 대한)에 집착하면서 불안을 완화시키기 위한 강박행동,예를 들어 손 씻기, 확인하기, 정돈하기, 숫자세기 등을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장애이다. - 신체변형 장애(body dysmorphic disrder) - 저장장애(hoarding disorder) - 모발 뽑기 장애(trichotillomania 또는 hair-..

정신분열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증적 장애 (Schizophrenia Spectrum and Other Psychotic Disirders)의 종류 망상, 환각, 혼란스러운 언어, 부적절한 행동, 둔마된 감정이나 사회적 고립을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일련의 정신 장애를 의미한다. - 분열형 성격장애: 경미한 정신분열 증상이 성격의 일부처럼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 망상장애: 다른 기능은 비교적 온전하지만 망상을 특징적으로 나타낸다 잘못된 판단이나 부적절한 확신이 과한 경우이다 - 단기 정신증적 장애: 정신분열증상이 1개월 이내라는 뜻 - 정신분열형 장애: 정신분열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된 경우이다. - 정신분열증: 정신분열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면 정신분열증으로 판단한다. - 분열정동장애: 정신분열 증상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