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미술치료 초기기법
- 예술상담
- 미술치료의 개입
- 그림구조분석
- 정신장애의 종류
- 미술작업 후 대화하기
- 정신장애
- 미술치료
- 미술치료의 자기인식
- 인물화검사의 해석
- 자기인식 기법
- 인물화검사
- 그림검사의 종류
- 인물화검사 신체특징에 따른 해석
- HTP검사
- 그림심리검사
- 미술치료 연결하기
- 미술치료의 준비
- dsm-5
- 그림의 구조분석
- HTP검사 실시방법
- 피아제의 인식론
- 미술작업의 개입
- 미술치료에서의 자기인식
- 인물화검사의 채점 및 해석
- HTP검사의 해석
- 그림심리진단
- 그림검사 신체특징 해석
- 미술치료기법
- HTP검사의 채점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인물화검사 (5)
나무그늘
인물화검사 배경 및 실시 방법
인물화가 표현하는 것에 대한 이해 그림의 중복결정성 - 그림은 그림을 그린 사람의 생간, 감정, 욕구, 태도 등을 타인에게 전달하는 수단이 되며 의사전달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언어를 사용한 의사소통과 달리 그림은 특정한 문법과 그에 따른 의미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림은 다양한 의미를 동시에 전달하고 있다. 그림은 언어로 명확히 나타낼 수 없는 의미를 표현하며, 그린 사람의 의식적, 무의식적 측면을 동시에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피검자가 표명하는 의식적 의미 이외에도 우의식적 의미가 있으며, 그림을 그린 당시와 달른 시점에서 보면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자기상과 타인상 - 인물화 검사에 의해 그려진 인물은 그린이자신을 표현한다고 가정할 수 있지만, 또한 피검자가 자신 이외의 누군가에게..
카테고리 없음
2020. 8. 12. 2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