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미술치료의 자기인식
- 자기인식 기법
- 인물화검사
- 그림구조분석
- 예술상담
- 그림검사의 종류
- dsm-5
- 그림검사 신체특징 해석
- HTP검사의 해석
- 미술작업 후 대화하기
- 미술치료에서의 자기인식
- 인물화검사의 해석
- 인물화검사 신체특징에 따른 해석
- 미술치료의 준비
- 미술치료 연결하기
- 피아제의 인식론
- 미술치료
- 미술작업의 개입
- 미술치료 초기기법
- 그림의 구조분석
- HTP검사
- 그림심리검사
- HTP검사의 채점
- HTP검사 실시방법
- 정신장애
- 정신장애의 종류
- 미술치료기법
- 인물화검사의 채점 및 해석
- 미술치료의 개입
- 그림심리진단
- Today
- Total
목록그림 심리진단 (23)
나무그늘

사후 질문 나무 그림 1. 이 나무는 무슨 나무입니까? (확실히 알지 못할 때에는 상록수라든가 낙엽수 ㄷㅇ으로 물어본다.) 2. 이 나무는 어디서 자라는 나무입니까? 3. 한 그루만 자라는 나무입니까, 아니면 숲 속의 한 나무 그루입니까? 4. 이 그림의 경우, 날씨는 어떻습니까? 5. 바람이 불고 있습니까, 불고 있다면 어떤 바람이 어느 방향에서 불고 있습니까? 6. 태양은 떠 있습니까, 떠 있다면 어디에 떠 있습니까? 7. 이 나무는 몇 년 생입니까? 8. 이 나무는 살아있습니까, 시들었습니까, 메말라 죽었다면 언제 어떻게 죽게 되었을까요? 9. 이 나무는 강한 나무입니까, 약한 나무입니까? 10. 이 나무는 남자와 여자 어느 쪽을 닮았습니까? 11. 이 나무는 당신에게 누구를 생각나게 합니까? 12..

HTP검사의 배경 HTP검사란 House(집) Tree(나무) Persom(인물) 그림검사 이러한 여러 가지 그림과제를 요구하는 이유는 구체적 그림 검사에 있어서 그림과제에 따라 표현되는 개인의 성격이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집, 나무, 인물 세 가지 과제를 이용하는 이유 - 집, 나무, 인물은 유아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그릴 수 있는 그림이다. - 그림 대상으로 쉽게 편안하게 생각할 수 있는 대상이다. - 다른 대상에 비하여 솔직하고 자유로운 언어표현을 하게 하는 자극으로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준비도구와 실시 장소 도구 : A4 또는 B5 용지 4장, HB연필 2-3자루, 지우개, 자 또는 다른 도구는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장소 : 조용하고, 밝고, 통풍이 잘되는 곳으로 물리적, 심리적 안정..

팔 팔은 수행의 직접적수단이므로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가 현실 속에서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를 볼 수 있는 지표이다. 팔의 생략 : 한쪽 팔을 그리지 않았다면 세상과의 관계에서 양가감정을 가지고 있거나 부분적인 억압의 가능성. 양팔 모두 생략- 정신증적으로 퇴행되어 있거나 과도한 무력감과 부적절감 우울 등으로 현실에서 위축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팔을 등 뒤로 숨기고 있는 경우 :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억제하고 현실대처능력의 부족과 무력감을 시사한다. 팔의 크기 : 긴 팔- 세상과의 상호작용에서의 무력감을 과잉보상하려는 시도 굵은 팔- 타인을 지나치게 통제하거나 지배적 행동을 보일 가능성 약한 팔- 대처능력의 저하, 수동성, 선 하나로 팔을 표현했다며 부적절감과 수동성이 매우 큰 경우일 수 있다. 두 ..

목 목은 인지적 활동, 즉 사고, 공상, 감정과 몸에서 일어나는 신체적 반응을 연결하는 통로. 적절한 통합은 정신과 신체의 경험에 대해 스스로 통제감을 느끼고 편안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목의 생략 : 정신과 신체경험의 통합 또는 조절에 무능함. 뇌기능장애, 해리장애, 사고장애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목의 크기 : 긴 목은 생각과 행동 간의 거리를 두고자 함. 자신의 공상활동에 몰두할 가능성이 크다. 가늘고 긴 목- 통제력을 상실한 상태에서 위축되고 억제되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굵은 목- 생각을 통제하는 것에 지나친 집착을 보일 수 있으며, 경직되고 완도한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작고 짧은 목-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고자 하는 의지에 압도되어, 스스로의 행동통제에 대하여 무력가, 자괴감, 부적절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