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에서 무엇을 보고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에 대해 다각적인 접근이 가능해야 하며 이 중 그린이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얻어내는데 가장 적절하고 유용한 방법을 판단하고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는 그림해석에 대한 기본 접근 방법을 간단히 알아본다.
인상 주의적 해석방법
인상주의적 해석이란 그림이 주는 주관적 인상에 근거하여 피검자의 심리적 특성에 대해 해석하는것이다
예) “무언가 공허해 보인다.”, “화가 난 것 같은 무서운 인상을 준다.”, “이 사람은 한없이 약해 보인다”, “이 나무는 튼튼하고 균형 잡혀 보인다” 등
인상형성을 위해서는 풍부한 공감능력과 직관력, 예민함이 요구되며, 풍부한 임상경험이 필요하다.
“피검자가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했는가”를 대리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공감”이 필수적이다
- 그린이가 그림을 그릴 때 어떤 마음이었을까를 상상해보거나 그림에 그려진 모습과 비슷한 몸짓이나 자세를 취해 봄으로써 운동감각적인 공감을 형성할 수 있다.
첫인상에 구애됨 없이 자유롭고 반복적 인상의 수정이 가능하다.
피검자의 전체적이고 종합적인 심리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상주의적 해석에만 의존해서는 안된다.
구조적 해석 방법
구조적 해석이란 그림의 여러 가지 구조적 요소를 하나하나의 의미를 고려하는 해석이다.
구조적 해석은 가설을 도출하는 것이다.
일대일 대응식의 해석은 피해야 한다
- 즉 각 요소의 특징이 의미할 수 있는 바가 무엇인지에 대한 가설들을 도출하고 그것이 다른 구조적 요소에 비교했을 때도 일치하는가,
그림이 주는 인상과도 일치하는가,
다른 심리치료 자료나 임상적 관찰, 면담자료와도 일치하는가에 근거하여 가설을 채택 또는 기각하는 것
<그림의 구조적 요소 13가지>
- 그림을 어떻게 그려 나갔는가?
- 그림의 크기가 적절한가?
- 그림을 종이의 어느 위치에 그렸는가?
- 연필을 얼마나 힘주어 눌러 그렸는가?(필압)
- 선의 질이 어떠한가?
- 그림의 세부특징을 어떻게 묘사하였는가?
- 그림을 그리다가 지운 적이 있는가? 무엇을 지웠는가?
- 그림의 대칭적인 측면을 강조했는가?
- 그림의 일부분을 왜곡하거나 빠뜨린 것이 있는가?
- 그림에 투영성(transparency)이 나타났는가?
- 그림의 대상을 움직이고 있는 모습으로 그렸는가?
- 종이의 방향을 돌려가며 그렸는가?
- 그리라고 지시한 것 이외의 것을 더 부가해서 그렸는가? 무엇을 더 그렸는가?
분석적 해석방법 - 융의 그림해석의 기초
그림해석을 위한 기본 가정
외부세계의 지각은 이미지를 통해 드러난다
- 시각이미지, 청각이미지, 후각이미지, 촉각이미지. 이런 이미지들이 정서적으로 강하게되면 충동이 되어 의식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우리의 의식이 되는 것은 무엇이든 우선 하나의 이미지로 나타난다.
이미지들은 그림을 통해 내면세계를 의식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했고
무의식에서 나온 것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게 한다.
인간은 그림을 읽는 능력을 가지고 태어 났으며 무엇인가를 그리고 칠하려는 즐거움, 충동, 그리고 능력을 가졌다.
인간이 가진 감정, 생각, 상징적인 이미지, 판단 등에 공통의 양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런 기본적인 정신 구조를 “원형(archetyoes)”이라 한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는 본능의 의미를 나타내며 자아의식은 이러한 의미에 질서를 부여하고자 하는 견제와 균형의 체제이다.
이미지는 무의식과 의식의 세계를 연결 짓는 다리 역활을 한다.
의식과 무의식 세계는 양립할 수 없으나, 이 둘은 상징으로 알려져 있는 이미지에 의해 연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