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그늘

그림의 구조분석 본문

그림 심리진단

그림의 구조분석

마쏨 2020. 7. 31. 19:42
반응형

구조적 분석은 그림에 나타난 심리적 특징을 그림의 구성요소들에 따라 탐색하고 분석하는 방법이다

그림의 요소들은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



<그림의 순서와 변화>
그림을 그려나간 순서와 변화는 피검자의 내적 갈등과 그에 대한 방어의 양상을 알아볼 수 있다.


그림과 그림의 순서
- 한 대상 안에서의 순서 -
: 하나의 대상을 그릴 때 정해진 순서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그림을 그려나가는 순서를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순서가 지나치게 무시되거나 왜곡된 경우 이것을 심리적 문제를 시사하는 유의미한 사인으로 볼 수 있다.
예) 인물화에서 일반적인 순서: 머리->발/ 이상순서: 발->머리

- 대상과 대상사이의 순서 -
: 하나의 과제에서 여러 대상을 그리는 경우, 먼저 그린 대상과 다음으로 그린 대상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도 중요한 지표가 된다.
예) 인물화에서 여성을 먼저 그렸는가 혹은 남성을 먼저 그렸는가.
가족화에서 가장 먼저 그린 가족구성원은 누구이며 이후 어떠한 순서로 가족구성원들을 그려나갔는가


그림의 변화
- 그림을 그리다 지우고 다시 그린 겨우 -
: 무엇을 지우고 그 위에 무엇을 다시 그려 넣었는가

- 선의 변화 -
: 그림 전반에서 일관된 선의 특성이 나타나는가 혹은 질적 변화가 나타나는가
예) 굵고 강한선->가늘고 약한선/ 가늘고 약한 선을 여러번 칠해 굵고 선명하게 보이도록 함

- 수행수준의 변화 -
: 여러 장의 그림을 그리는 경우, 수행의 진행과정에서 에너지의 투여 정도와 그림의 완성 수준의 변화가 있는가? 있다면 어떠한 변화양상을 보이는가?
예) 점점 에너지 수준이 높아지는 경우/ 점점 에너지 수준이 떨어지는 경우.



<그림의 크기>
그림의 크기는 피검자의 자아존중감, 자아팽창의 정도, 자기에 대한 평가 및 공격성, 충동성, 행동화의 가능성이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보통크기
보통은 종이 크기의 2/3에 해당하는 그림을 그린다.
이는 자신에 대한 적절한 수준의 평가와 과시성을 가진 것으로 해석된다.


큰 그림
종이에 꽉 찬 그림이나 종이가 모자랄 정도로 과도하게 큰 그림을 그리는 경우 자신에 대한 과대평가나 공격성, 행동화의 가능성, 심리적 미숙함, 또는 내면의 열등감에 대한 과잉보상의 시도 등으로 생각할 수 있다.


작은 그림
지나치게 작은 그림은 내면의 열등감, 부적절감, 수줍고 위축된 심리상태인 것으로 생각 할 수 있다.



<공간활용>
그림이 종이의 어느 위치에 자리잡고 있느냐와 같은 공간활용에 대한 해석에는 다양한 모델들이 있다.
여기서는 공간에 대한 모델들을 살펴본 후, 일반적인 해석의 지침들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공간상징에 대한 ‘동양’의 관점
동양에서는 음양오행의 원리에 근거하여 하늘과 땅을 이해하였다.
공간은 오방, 즉 동서남북과 중앙으로 이루어지며, 오행은 색, 계절, 신체부위, 맛, 음과 연결되어 있어 이 모든 것들이 순화적 관계를 가진다고 본다.


공간상징에 대한 ‘서양’의 관점
서양에서는 십자가 형태를 공간 활용의 기본도식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 융의 관점 -
융의 관점은 공간 활용을 무의식의 표출과 그에 따른 인과론적 결과로 해석하고 있다.

º 조용하고 편안한 느낌을 찾고 싶은 욕구나 안정을 갈망하는 표현
: 오른쪽 아래쪽과 가까운 공간활용

º 밖을 내다보고 자신을 뛰어넘고자 하는 상반된 욕구표현
: 위쪽 하늘에 근접한 공간 사용

º 의식화와 현실화의 욕구 표현
: 방향감각을 잡는 것으로 윗부분의 화면사용. 신체의 머리와 가슴을 표현 한것

º 의식화 과정과 외부세계에서 활동하고 싶은 욕구 표현
: 오른쪽 윗부분 사용. 의식에 더 가까움

º 뿌리로 가려는 무의식적 욕구와 동경의 욕구 표현
: 그림의 아랫부분, 신체의 복부와 생식기에 해당된다.

º 현실의 확고함을 토착화하려는 욕구 표현
: 그림의 아랫부분 전체 사용
(그곳에 정착하고 관계할 수 있는 노력과 자신을 포기하는 경향과 심연까지 가려는 욕구를 내포한다)

º 그림을 반으로 나누었을 때
: 위쪽 사용, 허리 윗부분, 위장과 가슴(머리 높은 곳에서 조망할 수 있는 욕구와 한계를 초월하려는 노력과 그에 따라 바라보고 눈에 띄게 할 수 있는 경향을 나타냄)

º 그림의 오른쪽: 숙련적이며 의식적

º 그림의 왼쪽: 미숙력, 무의식적, 심장에 가까우며 감정과 정서에 가까운 의미

반응형

'그림 심리진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의 구조분석(3)  (0) 2020.08.06
그림의 구조분석(2)  (0) 2020.08.05
그림의 발달단계별 특성  (0) 2020.07.27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0) 2020.07.26
그림검사 해석을 위한 접근  (0) 2020.07.24